[이경우의 언파만파] ‘씨’를 대신하는 직함

[이경우의 언파만파] ‘씨’를 대신하는 직함

이경우 기자
입력 2020-03-08 23:12
업데이트 2020-03-09 03: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사람의 성 또는 이름 아래 붙여서 존대를 표하는 말.’ 1938년에 나온 문세영의 ‘조선어사전’에는 ‘씨’를 이렇게 풀이해 놓았다. 지금과 달리 ‘씨’는 높임의 의미가 선명하던 말이었다. 따라서 누구에게나 ‘씨’를 붙이지 않았었다. 1899년 12월 독립신문은 ‘학부대신 리건하씨가 내부대신을 기어이’, ‘함평군수 민태식씨는 연안군수로 있을 때’처럼 적었다.

1918년 민족 계몽과 학술 연구를 목적으로 계명구락부라는 단체가 설립된다. 1921년 이 단체는 이름 뒤에 ‘씨’를 붙여 사용하자고 결의한다. 상대를 부를 때 ‘평등하게’ 높임말을 붙여 사용하자는 취지였다. 지위가 있는 홍길동만 ‘홍길동씨’가 아니라 그렇지 않은 홍길동도 ‘홍길동씨’라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 단체는 자유와 평등이라는 근대적이고 민주적인 가치를 실현하고 싶었다.

현재의 ‘씨’는 주로 동료나 아랫사람을 향한다. 상대인 ‘너’를 대접하면서 한편으로는 ‘너’와 ‘나’가 공적인 관계라는 사실도 알린다. 윗사람에게는 붙일 수 없는 말이 됐다. 윗사람에게는 대접이 아니라 낮춰서 박대하는 말이 돼 버렸다. 윗사람에게는 공적일 때만 조금 이해가 된다. 사적인 친밀감을 덜어 내는 데다 한쪽을 향해선 낮춤의 의미까지 지닌 ‘씨’는 점차 더 불편하게 보이는 말이 돼 가고 있다. 특별한 말이었는데, 그렇지 않은 말이 됐기 때문이다.

‘씨’를 통해 계명구락부가 추구하던 가치는 한때 실현되는 듯했다. 매체들은 지위에 관계없이 이름 뒤에 ‘씨’를 붙였다. ‘국회의원 홍길동씨’, ‘회장 홍길동씨’라고도 했고, 회사원 ‘홍길동’에게도 같이 ‘홍길동씨’라고 했다. 평등하게 높였었다. 그렇지만 ‘씨’의 사회적 가치가 낮아지자 ‘국회의원 홍길동씨’ 식의 표현은 슬그머니 사라져 갔다. 대신 ‘홍길동 국회의원’, ‘홍길동 회장’이 대세를 보였다. 이제 매체들과 공적인 자리의 진행자들은 이들에게 더이상 ‘씨’를 붙이지 않는다. 직업 이름이나 직함이 ‘씨’가 가졌던 가치와 자리를 대신하게 된 것이다.

현직에서 물러난 이들에게도 우린 그대로 옛 직함을 불러 준다. 마땅한 대안을 찾지 못한 탓도 있을 것이다. 따지면 이상한 것이지만, 현실은 옛 직함으로 상대를 불러야 예의를 갖춘 게 된다. 매체들은 ‘전’ 자를 붙여서 옛 직함을 살려 준다. 반드시 그렇지 않은 상황이어도 ‘씨’를 피한다. 일부에게만 ‘씨’를 붙이던 때로 가 버린 것과 같다. 현실은 공정하고 더 형평성 있기를 바라는데, 생각과 관습은 이전 시기 그대로라는 표시처럼 보인다.

wlee@seoul.co.kr
2020-03-09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