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겨울 산/함혜리 논설위원

[길섶에서] 겨울 산/함혜리 논설위원

입력 2010-11-24 00:00
업데이트 2010-11-24 0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차갑고 투명해진 겨울 공기 탓일까. 멀리 보이던 산이 유독 가까이 느껴진다. 울긋불긋 화려함을 자랑했던 단풍은 속절없이 사라지고 칙칙해진 겨울 산이지만 삭막하고 초라해 보이지는 않는다. 군데군데 소나무들이 푸릇푸릇 생명력을 뽐내고 있는 덕분이다.

공자는 세한연후 지송백지후조야(歲寒然後 知松柏之後凋也)라고 했다. 날씨가 차가워진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듦을 알 수 있다. 풍족할 때는 사람들의 인품이 잘 드러나지 않지만 어려운 상황에 처하면 그때의 처신에 따라 인품이 드러난다는 뜻이다. 우리나라 문인화의 최고 작품으로 꼽히는 완당 김정희의 세한도(歲寒圖) 제호도 논어 자한편에 나오는 이 경구에서 따왔다. 지위와 권력을 박탈 당하고 제주도로 귀향 온 완당은 귀한 책들을 구해다 준 역관 이상적의 인품을 소나무와 잣나무에 비유했다.

추위와 비바람에 상관없이 늘 푸른 모습으로 산을 지키고 있는 소나무의 존재감을 드러내 준 겨울 산이 오늘따라 고마웠다.

함혜리 논설위원 lotus@seoul.co.kr
2010-11-24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