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대문사진 심리학/진경호 논설위원

[길섶에서] 대문사진 심리학/진경호 논설위원

입력 2013-04-24 00:00
업데이트 2013-04-24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카오톡과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대문사진’은 대개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자기 얼굴 사진과 가족 사진, 풍경이나 사물 사진, 그리고 연예인 사진을 내건 경우와 아예 아무런 사진도 없는 경우다. 미술심리치료를 업으로 둔 지인이 대문사진에 담긴 심리를 들려줬다.

자신의 얼굴을 내건 사람은 자의식과 자기애가 강한 사람이라고 했다. 변화하는 자신을 보며 만족해하고, 남들이 이를 알아주길 바란다고 한다. 아이들 사진을 내건 경우는 누구나 짐작하듯 가족을 소중히 여기는 케이스. 그러나 사진 속 웃음이 꼭 현실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토를 달았다. 풍경이나 사물에는 자신의 상황이 암시돼 있다. 타인들과 거리를 두면서 넌지시 자기 상황을 알리는 셈이다. 연예인을 내건 사람은 심리적 사춘기에 놓여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아예 사진을 내걸지 않는 경우는 자기 보호의 심리가 유독 강한 케이스.

지인은 나루터에 고즈넉이 앉아 있는 자신을 내걸었다. “강 이쪽에서 저쪽으로 사람을 건네주는 뱃사공이 아닐까 싶다”면서….

진경호 논설위원 jade@seoul.co.kr

2013-04-24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