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인터넷 중독 문화/박현갑 논설위원

[길섶에서] 인터넷 중독 문화/박현갑 논설위원

입력 2013-08-22 00:00
업데이트 2013-08-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리 지하철에서는 스마트폰을 보는 사람들이 거의 없더라. 와이파이망이 우리나라만큼 좋지 않아서인지 아니면 사색을 즐기기 때문인지 스마트폰을 보느라 정신없는 우리와 대조적이더라.”

최근 프랑스 출장을 다녀온 후배가 한 말이다. 주변의 스마트폰 이용 풍경을 떠올려본다. 출퇴근 지하철에서는 물론 회식자리나 화장실에서도 스마트폰은 우리를 유혹한다. 자기 전 작별인사도, 기상 나팔 역할도 스마트폰이 한다. 잘 쓰면 보배지만 경우에 따라선 흉기가 될 수 있다.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에 화가 난 나머지 스마트폰을 망치로 부순 사람도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인터넷 이용률이 세계 211개국 가운데 21위로 파악됐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전체 인구에서 인터넷 사용자가 차지하는 비중을 파악한 결과다. 포클랜드제도가 96.92%로 5년째 1위고 우리는 84.10%로 21위였다. 속도는 최강이지만 이용률은 의외로 높지 않은 셈이다. 이용률을 떠나 인터넷 중독을 사용자 스스로 제어할 수 있는 앱을 만들면 어떨까?

박현갑 논설위원 eagleduo@seoul.co.kr

2013-08-22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