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부부 위패/박홍기 논설위원

[길섶에서] 부부 위패/박홍기 논설위원

박홍기 기자
입력 2016-06-06 22:34
업데이트 2016-06-06 22: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충원을 찾았다. 큰 문이 활짝 열려 있다. ‘국가와 국민을 위한 희생, 영원히 있지 않겠습니다’라는 큰 글귀가 들어왔다. 수많은 묘비를 빼고는 산도, 나무도 온통 푸르다. 허리가 굽은 한 노인이 지팡이에 의지한 채 묘역 쪽으로 걸었다. 어린이들을 데리고 온 젊은 가족도 눈에 띄었다. 찾는 이들의 사연은 묘비만큼 많을 듯싶다.

현충탑 뒤편 위패봉안관 왼쪽에 부부 위패비가 있다. 태극 문양의 받침돌을 한 검은 비석이다. 번호와 함께 두 명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한 분이라도 애국지사일 경우 함께 봉안할 수 있다. 올해 초 뒤늦게 모신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계신 곳이다. 할머니는 3·1 운동 당시 공주 장터에서 독립운동을 이끌다 체포돼 모진 옥고를 치르셨다. 돌아가신 지 10년이 넘어 건국포장이 추서됐다. 묵념을 했다.

위패봉안관에 들렀다. 영현승천상이 살아 있는 듯하다. 국화 향기와 향내가 짙었다. 위패 앞에 놓인 꽃다발에는 ‘처음 인사드립니다’, ‘다녀갑니다’, ‘편히 쉬세요’라는 메모들이 꽂혀 있다. 지팡이를 짚은 노인이 한참 위패를 쳐다보고 서 있었다. 무슨 사연이 있으시길래. 6월은 호국보훈의 달이다.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6-06-07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