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디지털 닭장’/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디지털 닭장’/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16-06-15 22:38
업데이트 2016-06-16 0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며칠 전 대학생인 아들에게 여자친구가 생긴 것을 알게 됐다. 어떤 아가씨일까? 과묵한 아들에게 꼬치꼬치 묻기도 뭐해 생각해 낸 게 페이스북이다. 딱, 이름 세 자 치니 아들의 친구 리스트 맨 위에 뜬다. 프로필 사진이 참하다. 다니는 학교와 출신 학교, 주변 친구들까지 한눈에 일목요연하게 들어온다.

페이스북을 하면서 갈수록 조심스러워지는 게 프라이버시 문제다. 사진 한 컷, 글 한 줄, 댓글 하나가 곧 나를 비추는 거울이기 때문이다. 이 정보들이 수백 명의 친구를 통해 끝없이 연결되니, 사실상 벌거벗은 것과 다름없다. 그래서 페이스북을 만든 마크 저커버그나 구글의 최고경영자 에릭 슈밋은 프라이버시를 사실상 시체 취급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오죽했으면 ‘디지털 현기증’의 저자 앤드루 킨이 ‘디지털 닭장’에서의 삶이라고 표현했을까.

문제는 페이스북이 디지털 시대의 대표적인 소통의 창이란 점이다. 기자인 내겐 특히 그렇다. 페이스북은 저항하기 어려운 콘텐츠 유통시장의 거인으로 커 버렸다. 선마이크로시스템스의 창립자 스콧 맥닐리는 “당신에겐 이미 프라이버시란 없다. 그냥 극복해 내라”고 했다. 충고를 받아들여야 하나?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6-06-16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