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감자전/이경형 주필

[길섶에서] 감자전/이경형 주필

이경형 기자
입력 2016-07-19 22:50
업데이트 2016-07-19 22: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맛비가 가늘게 내리는 휴일 낮, 감자전을 부쳐 먹는다. 정원에 흐드러지게 핀 능소화가 간밤의 비바람에 많이 떨어졌다. 베어 낸 부추 밭 위로 떨어진 진홍색 꽃잎들이 빗물에 젖어 더 붉게 빛난다.

내 손으로 거둔 감자를 믹서에 갈지 않고 강판에 대고 밀었다. 왠지 믹서를 사용하면 추억의 맛이 사라질 것 같다. 지난번엔 반죽이 너무 물렀다. 이번엔 물기를 줄여 센 불에 부쳤더니 바싹한 촉감이 감칠맛이 난다.

씨감자 눈을 쪼개 세 고랑에 심은 게 지난 3월 말이었다. 장마가 시작하기 전인 6월 말 감자를 캤다. 불과 3개월 만에 수확한 셈이다. 그래서 예부터 감자를 구황작물이라고 했나 보다.

1845년 아일랜드인들은 주식인 감자의 잎마름병으로 7년 동안 대기근을 겪었다. 인구 700만명 중 100만명은 굶어 죽고, 100만명은 풍랑과 싸우며 북미대륙으로 이주했다. 이때 사랑하는 가족, 친척, 연인들이 서로 부둥켜안고 울면서 불렀던 노래가 바로 ‘대니 보이’였다. 끊임없는 외침에 시달리면서도 저항 정신과 은근과 끈기로 살아온 아일랜드인은 어쩌면 한민족과도 많이 닮았다.

이경형 주필 khlee@seoul.co.kr
2016-07-20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