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버리는 습관/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버리는 습관/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16-10-23 23:06
업데이트 2016-10-23 23: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디 갔지? 분명히 작년까지 있었는데?’ 산책하러 나가면서 예전에 입던 겉옷을 찾는데 보이지를 않는다. 아내가 딱한 듯 쳐다보며 한마디 한다. “버리지 말라니까 말 안 듣더니. 한두 번도 아니고.” 그제야 지난여름 문턱에 옷 정리를 하면서 버린 게 생각난다. 유행에 뒤져 한동안 안 입던 터라 과감히 버렸는데, 깜빡 잊고 있었던 것이다.

간혹 물건 처리를 놓고 아내와 가볍게 다툴 때가 있다. 난 버리자는 쪽, 아내는 보관하자는 쪽이다. 내 개인 물건은 대체로 내 뜻대로 한다. 철마다 한 보따리씩 옷과 잡동사니를 버리기 일쑤다. 3년 이상 입지 않은 옷은 앞으로도 입을 가능성이 없고, 쓰레기와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아내는 정반대다. 옷은 물론 잡다한 집기 등을 버리는 데 인색하다. 지금은 싫지만 언젠가는 쓸모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간혹 아내의 예측이 맞기도 한다. 그래도 좁고 답답함을 감수하게 할 정도는 아니다. 주장으로만 보면 아내는 절약, 난 실용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비움과 채움을 추구하는 각자의 성향 차이인 듯도 싶다. 난 아내를 채워 주고, 아내는 나를 비워 주는 소통의 방식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6-10-24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