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에어컨이 가족/문소영 논설실장

[길섶에서] 에어컨이 가족/문소영 논설실장

문소영 기자
입력 2018-08-16 17:22
업데이트 2018-08-16 17: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이사를 하면서 에어컨을 옮겨 오지 않았다. 2008년에 산 그 벽걸이 에어컨은 에너지효율이 3등급이었다. 지지난해인가 역시 에너지효율 3등급이던 혼수로 해 간 냉장고를 바꾸고 났더니 전기요금이 월 1만~2만원이 확 줄어들었다. 그것을 확인한 뒤로 에너지효율이 낮은 전기제품은 교체하는 것이 생활의 지혜임을 깨달았다. 그러나 막상 6월이 돼 에어컨을 구매할 시기가 오자 다시 망설이게 됐다.

“여름에 한 열흘 틀자고 300만원 가까운 ‘붙박이 가구’를 들여야 하느냐”는 반대에 답변을 잘 하지 못했다. 봄·가을·겨울에 먼지를 뒤집어쓰고 있을 에어컨을 생각하면 돈도 아깝고 공간의 미학을 고려할 때도 별 볼일이 없는 것이다.

“이제 늙은이가 됐으니 기력이 달려서 여름 나기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설득에 몇 번의 망설임을 넘겼다. 주춤거리다 6월 말에 산 탓에 설치는 7월 중순에 해준다고 해서 뒤늦게 우려도 했다. 7월 초순에 장마에 아침저녁으로 쌀쌀한 바람이 불어 괜히 에어컨을 샀다는 후회도 간간이 했다. 그런데 에어컨을 설치하자마자 폭염이 쏟아졌다. 114년 만의 폭염을 기록한 올여름, 에어컨은 가구가 아니라 가족이었다. 우린 가족 없인 못 산다.

symun@seoul.co.kr
2018-08-17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