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아카가미/황성기 논설위원

[길섶에서] 아카가미/황성기 논설위원

황성기 기자
황성기 기자
입력 2018-10-25 17:22
업데이트 2018-10-26 0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금 방송 중인 일본 NHK의 아침 드라마 ‘만푸쿠’는 인스턴트 라면을 개발한 닛싱 식품의 창업자 안도 모모후쿠와 부인 마사코가 모델이다. 드라마 도입부라 이들 부부가 처음 만나 결혼에 이르는 1944~45년이 시대 배경인데, 딱 태평양전쟁 말기다. 진주만 공격으로 시작된 무모한 전쟁으로 전장에 병사가 모자라자 일본군은 전국에서 소집영장을 발부한다. 당시 일본에서는 영장이 빨간색이라 ‘아카가미’(赤紙)라 불렀다.

아카가미가 오면 주변 사람들이 ‘축하합니다’라는 인사를 건네고 빨간 종이를 받아 든 사람은 ‘고맙습니다’라고 한다. 살벌한 군국주의하에서나 가능한 축하와 답례다. 드라마의 주인공 어머니에게 세 명의 사위가 있는데 2명이 아카가미를 받아 들고 전선에 나간다. 막내딸의 남편은 몸이 좋지 않아 신체검사에서 불합격을 받는다. 그런 막냇사위를 “부끄럽다”고 여기는 어머니다.

전세를 알리는 벽보도 나붙는데, 일본군의 연전연승이다. 실은 정반대 상황이 벌어지고 있었는데도 언론까지 통제돼 주술에 걸린 패전 직전 광란의 일본, 그 땅에 사는 힘겨운 민중의 삶을 드라마는 그리고 있다. 전쟁의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자기반성일 것이라 믿고 싶다. 광기의 시대는 한 번으로 족하다.

marry04@seoul.co.kr
2018-10-26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