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상처와 연민/이순녀 논설위원

[길섶에서] 상처와 연민/이순녀 논설위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18-11-08 17:32
업데이트 2018-11-08 18: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전쟁 중이던 1951년, 북한은 사회주인 국가인 폴란드에 전쟁고아 1500명의 양육을 위탁했다. 아이들은 마을 전체가 양육원인 프와코비체에서 폴란드 교사들을 엄마, 아빠라 부르며 전쟁을 잊고 살았다. 하지만 8년 뒤 귀환 명령에 따라 전원 북한으로 돌아갔고, 이후 다시는 만날 수 없었다.

전쟁의 공포에 떨던 낯선 외국 아이들을 헌신적으로 보살핀 폴란드 양육교사들은 지금도 60여년 전 일을 떠올리며 눈물짓는다. 최근 개봉한 추상미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폴란드로 간 아이들’에 나오는 장면이다. 교사들은 아직도 아이들의 한글 이름을 기억하고, 귀국 직후 북에서 보내온 편지들을 소중히 간직하고 있다. 보편적 인류애로 설명하기엔 너무나 끈끈한 유대감이다. 놀랍게도 양육교사 상당수는 2차대전 때 독일과의 전쟁으로 부모를 잃은 고아였다. 그들이 자신과 같은 상처를 지닌 한반도의 전쟁고아들에게서 느꼈을 남다른 연민과 애틋한 사랑이 시공간을 건너뛰어 가슴 저 밑바닥을 울렸다.

인간은 누구나 저마다의 상처를 껴안은 채 세상을 뒹군다. 대개는 극복해야 할 장애물이나 감춰야 할 치부로 여기지만, 상처의 경험이 인류를 지탱하는 힘이 될 수도 있음을 새삼 깨닫는다.

coral@seoul.co.kr
2018-11-09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