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장마와 작물/문소영 논설실장

[길섶에서] 장마와 작물/문소영 논설실장

문소영 기자
입력 2020-08-19 20:10
업데이트 2020-08-20 0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마가 역대급인 탓에 텃밭의 농작물을 거의 포기했다. 3주 전 주말에 텃밭에 잠깐 나가보니 땅이 물처럼 흐르듯이 흐물거려 2주 전 주말에는 나가보지도 않았다. 다들 아시다시피 토마토, 가지, 고추 등은 고온건조한 남미에서 유럽을 거쳐 중국 등으로 들어온 작물이다. 그래서 한국처럼 고온다습한 7~8월을 이들 작물이 견디게 하려면, 병충해를 막을 농약이 불가피하다. 고온은 상관없는데 습기가 문제인 탓이다. 한국의 한여름은 거의 열대우림 수준이니 말이다.

이번 주말에 밭에 갔더니, 작물마다 희비가 엇갈렸다. 원래 토마토는 그럭저럭 버티고 있는데, 고추는 입마름병과 탄저병에 걸려 곧 다 죽을 상황이다. 가지는 열매 무게에 눌러 넘어졌는데도 역시 살 만하다. 그럼 차이는 어디서 발생했는가? 고추를 심어 놓은 쪽은 3주 전 잡초를 다 뽑아버렸다. 반면 토마토와 가지가 있는 쪽은 시간부족으로 잡초를 고스란히 남겨 놓았다. 그 결과 토마토와 가지를 심어 놓은 쪽은 잡초가 과공급된 수분을 흡수한 덕분인지 견디고 있었고 고추는 비실비실했다. 5~6월 봄가뭄이 깊어지면 잡초를 뽑지 않고 낫으로만 쳐줘야 작물이 더 버틴다. 장마에도 잡초랑 공존해야만 작물도 무사할 가능성이 높아지니 신기하지 않은가.

symun@seoul.co.kr
2020-08-20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