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추억의 연날리기/오일만 논설위원

[길섶에서] 추억의 연날리기/오일만 논설위원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20-10-27 20:42
업데이트 2020-10-28 0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년층이면 어릴 적 연에 얽힌 추억들이 있을 법하다. 바람이 거세지는 늦가을 무렵부터 동네 꼬마들과 어울려 연 만들기에 돌입하는 것이 첫 순서다. 보통 대나무로 골격을 만들고 그 위에 창호지를 붙여 본체를 완성한다. 보통 망가진 비닐우산에서 대나무를 떼어 내지만 급할 때는 온전한 비닐우산을 생짜로 망가뜨렸다가 된통 혼난, 추억의 아픔도 있다. 둥그런 창호지에 태극 모양을 색칠해 상단에 붙이고 꼬리를 길게 붙이는 작업 끝에 방패연이나 가오리연을 만든 기억이 생생하다. 하얀 무명실에 정성 들여 풀을 먹여 연줄의 강도를 높이는 작업도 무척이나 중요하다. 무명실을 얼레에 감은 뒤 연에 묶으면 본격적인 연날리기가 시작된다.

어렵게 연을 만들어도 정작 바람이 있어야 출정이 가능하다. 오매불망 기다리는 마음은 삼국지 제갈량이 동남풍을 고대하는 심정이리라. 얼레를 들고 팽팽한 연줄을 휘감을 때의 손맛은 바다낚시에서 월척을 끌어올릴 때의 그 느낌이다. 꼬리를 흔들며 하늘 높이 비상하는 연의 모습에 덩달아 신났고 연싸움을 하다 티격태격 다퉜던 기억도 있다. 최근 서해에 갔다가 연날리기에 몰두하고 있는 가족을 봤다. 연줄 하나로 따뜻하게 연결된, 그 모습이 너무도 정겹다.

oilman@seoul.co.kr
2020-10-28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