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홍어찜/임병선 논설위원

[길섶에서] 홍어찜/임병선 논설위원

임병선 기자
입력 2020-11-22 20:38
업데이트 2020-11-23 02: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끝이 알싸해지는 이맘때 가고 싶은 술집이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당역 중앙시장 골목에 숨어 있던 홍어찜 가게다. 이십년 전부터 드나들었는데 겨울밤 그 골목은 유난히 어두컴컴했다. 술추렴하는 이들은 납치라도 하려는 거냐고 신소리를 해댔다.

마지막으로 그 가게에서 막걸리 마신 것이 칠팔년쯤 전이었다. 홍어 본연의 맛을 살린 데다 식초장이 일품이었다. 92세 할아버지와 82세 할머니가 지키셨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연배 있는 어르신들이 하던 가게였으리라. 술꾼들이 홍어찜에 막걸리를 들이키며 흥을 올리면 옆에서 두 분이 하품을 해대셨다. 이따금 할머니는 끝까지 버티는 술꾼들 보라고 찌꺼기 눌어붙은 냄비를 북북 긁어대셨다. 빨리 집에 가라는 성화였다.

마지막 봤을 때 두 어르신은 가게에 찾아온 손주들에게 만원짜리를 찔러 주셨다. 계산한다며 신용카드 내민 내게는 “현금 없어?” 하셨다. 근처 현금지급기에서 인출해 드리겠다고 하자 따라나섰다. “할머니, 다리도 안 좋으신데?” 그러면 “운동되고 좋지 뭐”라시면서 지급기에서 현금 뽑는 내 뒤를 지켜 주셨다.

청계천 따라 귀가하는 길에 가게 있던 자리에 들어선 주상복합건물을 보면 가슴에 찬바람이 인다. 두 분 모두 떠나셨으리라.

bsnim@seoul.co.kr
2020-11-23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