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무티, 그리고 ‘아니오 부인’/안미현 논설위원

[씨줄날줄] 무티, 그리고 ‘아니오 부인’/안미현 논설위원

입력 2013-09-25 00:00
업데이트 2013-09-25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달 초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박근혜 대통령을 만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곧 있을) 총선에서 좋은 결과를 거둬 독일에서 박 대통령을 환영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메르켈 총리는 이 말을 지킬 수 있게 됐다. 자신이 이끄는 기독민주당과 기독사회당 연합이 엊그제 총선에서 압승을 거뒀기 때문이다. 이로써 세 번째 총리 자리는 따놓은 당상이 됐다. 이미 연임한 그가 또 한 번의 4년 임기를 마치게 되면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11년 6개월)를 제치고 유럽 최장수 여성 지도자로 등극하게 된다.

정치 초년병 시절 ‘유머감각이 없는 촌스러운 동독 여자’로 불렸던 그가 어떻게 대처리즘을 넘어 메르켈리즘 시대를 열게 됐을까. 현지 언론은 그 동인을 ‘무티 리더십’에서 찾는다. 무티(Mutti)는 독일어로 엄마라는 뜻. 문제가 생기면 알아서 척척 해결해주는 엄마처럼 국민에게 믿고 의지할 만한 느낌을 주는 데서 비롯됐다. 가장 옷을 못 입는 ‘워스트 드레서’ 자리를 도맡는 패션 무감각도 메르켈의 ‘엄마’ 이미지를 강화하는 한 요소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메르켈은 엄마가 아니다. 두 번 결혼했지만 자녀는 없다. 역설적인 면모는 그의 또 다른 별명 ‘프라우 나인’(Frau Nein)에서도 드러난다. 직역하면 ‘아니오 부인’이다. 유럽 재정위기가 심화되자 그리스, 스페인 등은 “독일의 긴축 요구가 경제위기를 더 악화시킨다”며 격렬한 시위를 벌였다. 하지만 메르켈은 “허리띠를 졸라매지 않으면 지원은 없다”며 아니오를 고수했다. 온화하면서도 단호한, 이중적인 면모다. 우파이면서도 좌파와 연정을 구성하고 노조와 사회적 약자도 배려하는 포용의 리더십. 이를 두고 미하엘 볼게무스 ‘오픈 유럽 베를린’ 연구소장은 “모든 시민과 이해집단을 배려한다는 점에서 메르켈은 대통령 스타일”이라고 평가했다.

대통령 스타일. 메르켈 총리의 3연임은 바로 이 점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 박 대통령은 보수정당 최초의 여성당수, 이공계 출신, 똑같은 헤어스타일 고수 등 공통점이 많은 메르켈 총리에 대해 “마음이 잘 통하는 것 같다”고 자서전에 썼다. 정당보다 개인의 인기가 더 높은 점도 닮은 꼴이다. 지금이야 찬사 일변도지만 메르켈 총리에게도 큰 비전이 없다거나 따분한 리더십이라는 비판이 따라다닌다. 하지만 “권력을 가진 것을 특별하지 않은 일로 바꿔놓은”(독일 일간지 쥐트도이체 차이퉁) 소박함과 때론 반대진영을 감싸안고 그 정책까지도 받아들이는 융통성은 ‘불통’ 비판을 받고 있는 박 대통령이 한번쯤 되짚어볼 대목이다.

안미현 논설위원 hyun@seoul.co.kr

2013-09-25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