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베를린 필하모닉/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베를린 필하모닉/서동철 논설위원

입력 2013-11-13 00:00
업데이트 2013-11-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얼마 전까지 FM 라디오에서 흘러나온 오페라의 테너 아리아는 과장을 조금 보태면 8할이 루치아노 파바로티의 목소리였다. 그는 2007년 눈을 감았지만 라디오 음악방송의 파바로티 편중현상은 아직도 완전히 극복되지 않고 있다.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이 지휘한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연주가 하루에도 몇 번씩 같은 방송국의 전파를 타던 시절도 있었다. 한때는 동네 이발소에서도 카라얀의 사진을 발견하는 것이 어렵지 않았다. 카라얀이 없는 베를린 필하모닉이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었다. 하지만 그가 1989년 세상을 떠난 뒤에도 베를린필은 여전히 건재하다. 음악애호가 사이에선 종신 음악감독 카라얀의 뒤를 이어 수석지휘자에 오른 이탈리아 출신 클라우디오 아바도의 베를린필에 더 큰 애정을 갖는 사람도 적지 않다.

카라얀 이후 베를린필에는 다양성이 더해졌다. 클라리넷 연주자 자비네 마이어가 처음 금녀의 벽을 뚫고 입단한 것이 1983년이다. 지금은 20명 남짓한 여성 단원이 곳곳에 자리 잡고 있다. 수석악장 카시모토 다이신과 제1 바이올린 미치다 고토와, 제2 바이올린 미를렌 이토, 비올라 수석 시미즈 나오코는 일본인이다. 베를린필은 나치에 협력했다는 이유로 상임지휘자 빌헬름 푸르트뱅글러가 전범재판에 회부되는 곡절도 겪었다. 베를린필은 1933년 유대인 단원을 모두 해고했는데, 인도네시아로 추방된 단원은 일본군에 붙잡혀 강제수용소에 수감됐다. 일본은 독일의 동맹국이었다. 이래저래 일본과는 인연이 적지 않다.

이렇듯 독일·오스트리아 순혈주의도 무너졌다. 제1 바이올린만 해도 단원의 국적은 영국, 이탈리아, 폴란드, 루마니아, 세르비아, 알바니아를 비롯한 유럽은 물론 남미의 브라질과 칠레까지 다양하다. 콘트라베이스 에딕손 루이즈는 베네수엘라의 빈민 음악교육 프로그램 ‘엘 시스테마’의 수혜자로 최연소 입단기록을 세운 인물이다. 역시 ‘엘 시스테마’가 배출한 젊은 거장 구스타보 두다멜도 종종 베를린필 지휘대에 선다. 한국인 단원은 아직 없다. 오보에 함경과 바순 장현성이 인턴으로 활동하고 있으니 반가운 소식을 기다려 봐도 좋겠다.

11~12일 열린 내한 연주회의 지휘는 비틀스의 고향인 영국 리버풀 태생의 음악감독 사이먼 래틀이 맡았다. 베를린필의 사운드를 현대적으로 바꾸었다는 평가를 받는 그는 이번에도 브루크너와 슈만 같은 독일 낭만파에 스트라빈스키, 프로코피예프, 피에르 불레즈의 작품을 넣어 청중을 열광시켰다. 베를린필에 전한다는 말을 실감한다. ‘지휘자는 왔다가 간다. 하지만 베를린필은 남는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11-13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