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급훈 만들기/강동형 논설위원

[씨줄날줄] 급훈 만들기/강동형 논설위원

강동형 기자
입력 2016-03-01 22:46
업데이트 2016-03-01 23: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늘은 전국 초중고 모든 학교에서 입학식과 함께 새로운 학년이 시작되는 날이다. 학창 시절을 떠올려 보면 1년 중 가장 설레는 날이기도 하다. 새 학년 새 학기를 맞아 담임선생님과 학생들이 머리를 맞대고 급훈을 만들어 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학창 시절 급훈은 ‘성실’ ‘정직’ ‘노력’ ‘실천’ ‘정숙’ 등이었다. 학생들이 만들었다기보다는 담임선생님이 혼자 정한 급훈이었다.

급훈도 시대 상황을 반영한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요즘은 톡톡 튀는 급훈도 많다. 인터넷에서 ‘급훈’을 검색하면 재미있고 기발한 급훈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 ‘CCTV 작동 중’ ‘쟤 깨워라’, ‘니 내신을 알라’, ‘무음(無音)의 연주’, ‘그 얼굴에 공부까지 못하면 안습이다’, ‘더이상 미룰 수 없다. 너의 대학, 나의 결혼’, ‘대학의 문은 좁지만 우리는 날씬하다’, ‘엄마가 본다’, ‘우리 엄마도 계모임에서 말 좀 해보자’, ‘30분 더 공부하면 내 남편 직업이 바뀐다’, ‘칠판이 남자다’. 재치가 넘치는 급훈이지만 모두가 인성보다는 공부를 강조하고 있어 안타까운 생각이 들기도 한다.

요즘 학생들은 고리타분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나이가 들수록 ‘성실’ ‘정직’ ‘노력’ ‘실천’만 한 급훈도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특히 우리가 성실(誠實)이라는 단어 하나만 가슴에 품고 살아갈 수 있다면 어디에서 무엇을 하든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주변에서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성실함에 있다. 기업을 크게 일군 사람은 물론이고 젊은이들이 선망하는 운동선수, 가수, 영화배우 등 성공한 사람치고 성실하지 않은 사람이 없다. 정직한 사람은 성실할 수밖에 없고, 성실해야만 정직할 수 있다. 요즘 젊은이들이 스스로 N포세대라 비하하기도 한다.

그러나 성실 하나만 있으면 모든 것을 극복할 수 있다. ‘천리마는 하루에 천 리를 간다고 뽐내지만 조랑말도 열흘이면 너끈히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옛말이 있듯이 누구나 노력하면 꿈을 이룰 수 있다.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말의 의미도 나이 들어 깨닫게 된 게 아쉽다. 그때는 알아듣지 못했겠지만 담임선생님이 좀 더 깊이 있는 설명을 해 주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미련도 남는다.

얼마 전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급훈을 정할 때 선생님이 단독으로 정하는 것을 선호하는 학생은 2%밖에 안 된다고 한다. 학생들이 스스로 만들었으면 하는 것은 24%, 선생님과 학생이 함께 만들면 좋겠다는 응답자는 61%나 됐다. 아무래도 좋다는 대답은 13%였다. 그러나 교육 현실은 그렇지 않다. 선생님이 급훈을 정한다는 응답이 초중고교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60% 이상이나 됐다.

새 학년을 맞아 선생님과 학생들이 머리를 맞대고 급훈을 만들어 보면 어떨까. 작지만 의미 있는 일이 될 것 같다.

강동형 논설위원 yunbin@seoul.co.kr
2016-03-02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