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미세먼지 해결사’ 반기문/이순녀 논설위원

[씨줄날줄] ‘미세먼지 해결사’ 반기문/이순녀 논설위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19-03-13 22:30
업데이트 2019-03-14 02: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10년 재임 기간 중 최대 업적으로 평가받는 분야는 기후변화다. 2015년 12월 체결된 파리기후변화협약에 195개국이 동참한 데는 반 전 총장의 지속적인 관심과 끈질긴 설득이 원동력이 됐다. 각국 정상을 만나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북극 등 온난화의 영향을 받는 지역을 수차례 방문하는 등 임기 내내 기후 문제의 위험을 알리고 대응책을 모색하는 일에 매진했다. 반 전 총장 스스로도 ‘2030 지속가능개발목표(SDG)’와 함께 파리기후변화협약을 가장 큰 성과로 꼽는다.

기후변화에 대한 반 전 총장의 관심은 퇴임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 지난해 3월 서울에 본부를 둔 국제기구인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의장에 선출됐고, 10월에는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등과 뜻을 모아 기후변화글로벌위원회(GGA)를 출범시켰다. 반 전 총장은 GGA 출범식 기조연설에서 “전 세계는 기후변화로부터 돌아올 수 없는 지점에 처해 있다”며 더 늦기 전에 기후변화 대응 방안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했다.

미세먼지가 시급한 국가적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반 전 총장이 국내 미세먼지 컨트롤타워의 수장을 맡을지 주목되고 있다. 청와대는 그제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의 제안을 수용해 미세먼지 관련 범사회적 기구를 구성하고, 반 전 총장에게 위원장을 맡기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무총리실에 미세먼지특별위원회가 설치돼 있지만, 중국발 미세먼지 등 외교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손 대표가 반 전 총장을 추천하면서 “파리기후협약을 성사시킨 국제적 경험이 있고, 외교 전문가로서 중국 등 주변국과 미세먼지 문제를 협의하고 중재할 능력을 갖췄다”고 말한 배경이기도 하다.

반 전 총장이 현재 해외에 머물고 있어 당장 위원장직 수락 여부를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언론에 보도된 측근의 전언에 따르면 평소 미세먼지 문제의 심각성을 느끼고 있고, 정부가 말하는 해결 필요성에도 동감하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반 전 총장은 1년 전 GGGI 의장 취임 기자회견에서 “미세먼지(문제)가 아주 중요하다. 우리가 관심을 갖고 정부 기관과 (해결을 위한) 노력을 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어제 국회가 본회의에서 미세먼지를 사회 재난에 포함하는 개정안 등 미세먼지 대책 법안 8건을 일괄 처리했다. 미세먼지 발생의 국내 요인을 줄이는 토대를 뒤늦게나마 마련한 것은 다행이다. 이에 발맞춰 중국발 미세먼지에 대한 외교적 해법이 중요한 시점이다. 미세먼지 해결사로서 반 전 총장의 역할이 주목되는 이유다.

coral@seoul.co.kr
2019-03-14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