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의 조사 품목은 458개다. 가계소비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만분의1 이상인 품목들이다. 소비 패턴이 변하니 품목도 바뀐다. 5년마다 품목을 개편하는데 그동안 연탄, 사전, 예방접종비 등이 빠지고 삼각김밥, 아보카도, 식기세척기 등이 들어왔다. 특정 품목의 중요도를 반영해 가중치가 부여되는데 이 또한 2~3년 주기로 바뀐다. 인구가 이동하고 상권이 변하니 조사 지역도 바뀐다. 경기 화성시, 경남 양산시를 2020년 추가해 현재 40개 시의 물가를 조사한다.
조사 품목 중 가장 많은 비중은 먹거리다. 식료품(140개), 주류(6개), 외식물가(39개) 등으로 전체의 40.4%를 차지한다. 그런데도 소비자가 느끼는 체감물가와는 차이가 많이 난다. 이에 통계청은 식료품 등 자주 사는 물건 및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와 채소·과일·생선 등 55개 품목의 신선식품지수도 함께 발표한다. 통계청은 ‘소비자물가지수 이해 홈페이지’도 운영하고 있다.
어제 9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보다 1.6% 올랐다고 발표됐다. 신선식품은 3.4%, 범위를 좁혀 신선채소는 11.6% 올랐다. 마트에서는 ‘깻잎 한 장 100원’, ‘배추 한 통 2만원’이니 현실성 없어 보이는 숫자다. 조사품목에 깻잎(0.3)과 배추(1.4)가 있지만 총 가중치(1000)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극히 미미해서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배추는 전년 동월보다 53.6% 올랐다. 가격 변동만 따지는 통계청과 금액이 중요한 소비자 간의 괴리가 불가피하다.
소비자물가는 한국은행의 금리 결정, 국민연금 등 각종 지급액 조정에서 매우 중요한 지표로 쓰인다. 소비자물가에 대한 신뢰성이 낮아지면 다른 정책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상기후가 일상인 상황에서 오른 품목을 두더지 잡기식으로 따라갈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고려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발표된 소비자물가에 대한 국민의 불신을 조금이라도 덜어 줄 수 있다.
2024-10-0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