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인문학의 정신/박준철 한성대 역사문화학 교수

[열린세상] 인문학의 정신/박준철 한성대 역사문화학 교수

입력 2010-02-25 00:00
업데이트 2010-02-25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년 전 외국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을 때 겪은 일이다. 교환교수로 그곳에 와 있던 한 명문 의과대학의 교수가 어느 날 정색을 하고 묻는다. ‘객관적 역사가 존재합니까?’ ‘관점과 해석에 따라 결론이 달라지는 그런 학문을 뭣 때문에 합니까?’ 그의 의도와 상관없이 일종의 모독으로 다가왔다. 어처구니없는 독선에 발끈했지만 정작 제대로 대꾸를 못했다. 그야말로 아마추어였다.

이미지 확대
박준철 한성대 역사문화학부 교수
박준철 한성대 역사문화학부 교수
작년 유사한 경험을 했다. 한 인문학 연구 프로젝트의 책임자로 관계부처에 지원을 요청했다. 의사결정 라인의 중심에 서 있던 한 공학전공 교수로부터 지원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 그가 제시한 여러 사유 가운데 하나는 놀랍게도 학문 간 우열의 논리를 담고 있다. 표현은 완곡했지만, 인문학은 당장 눈에 보이는 구체적 성과를 내놓을 수 없다는 것이었다. 마치 중저가 학문에 빌어먹기라도 하는 듯 모멸감이 엄습했다.

학생들이 처한 딱한 현실을 보면 인문학의 수세적 입장은 더욱 두드러진다. 대학이 결코 낭만의 공간이 아니라는 점을 깨닫게 되는 시기가 되면 대부분의 인문학 전공 학생들은 자신의 학문적 정체성과 불투명한 미래의 틈새에서 심한 몸살을 앓는다. 모더니즘 문학의 숨 막히는 미학도, 프랑스 대혁명의 고귀한 정신도, 사르트르의 실존적 고뇌도 곧 닥칠 냉혹한 내일을 생각하면 능사가 아님을 체감한다.

우려는 현실로 이어진다. 최근 한국교육개발원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전공 관련 분야 취업률이 낮은 상위 10개 학과 가운데 9개 학과가 인문학 영역에 속한다. 취업과 관련해서 인문학 ‘전공 무용론’까지 머리를 내미는 실정이다. ‘당장 눈에 보이는 구체적 성과’의 논리가 학생들의 취업 문제에도 고스란히 적용되고 있는 셈이다. 교수나 학생이나 인문학에 몸담은 것이 자꾸만 버겁게 다가온다.

인문학은 과연 조명을 받지 못하는 누추한 무대의 엑스트라 배우인가. 팔불출 소리를 듣더라도 제 식구 감싸기를 해야겠다. 인문학은 인간과 사회에 대한 안목을 배양하여 삶의 의미를 진단하고 나아가 참다운 가치를 모색하는 학문이다. 곰곰이 따져보면 주연을 자처하는 과학도 결국 살아 꿈틀대는 인간을 그 중심에 상정하고 있다. 그 궁극적 목적은 자연과 육체의 원리규명 자체가 아니라 인간 삶의 질적 개선이다. 요컨대 인문학적 가치는 모든 학문의 근원이자 목적이다.

한편 인문학은 인간의 의지와 정서에 남다른 영향을 미친다. 셰익스피어의 비극작품은 수많은 자살을 낳았고, ‘일리아드 오디세이’는 하인리히 슐리만을 일약 위대한 문명의 발견자로 탈바꿈시켰다. 빌 게이츠는 정작 오늘의 자신을 만든 것은 과학적 재능이 아니라 ‘위대한 개츠비’와 ‘호밀밭의 파수꾼’ 같은 문학작품이라 회고하였다. ‘관점과 해석에 따라 결론이 달라지는 그런 학문’이 갖고 있는 탁월한 역량이다.

다른 차원에서 접근해 보자. 고대 그리스의 소피스트들은 이전의 자연과학자들과 달리 인간과 사회를 사색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인문학의 효시를 마련하였다. 그들이 공통적으로 터득한 바는 인간사회에 절대적 진리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요컨대 진·선·미를 포함한 모든 가치는 상대적이라는 것이다.

어떤 이데아도 인간사회에 독점적으로 군림할 수 없다는 인문학의 대전제는 다양성을 인정하는 미덕으로 이어진다. 다름이 결코 틀림이 아니라는 것이고, 이런 인식은 사고의 유연성을 키운다. 경직된 흑백논리와 섬뜩한 선악의 잣대로 상대방의 이념과 입장을 유린하는 극단의 문화가 도처에 득세하는 작금에 인문학의 당위가 더욱 절실하게 다가오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얼마 전 탄생 100주년을 맞이한 호암 이병철에 대한 일화가 새삼 떠오른다. 기업을 운영하려면 인문학적 소양이 필요하다는 소신을 갖고 있었던 그는 현재 한국경제의 차세대 주역으로 부상한 두 손자에게 역사학을 전공토록 하였다. 분명 범상치 않은 혜안이다. 인문학의 정신이 온당히 예우되는 내일을 기대해 본다.
2010-02-25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