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가치를 섬기는 ‘잘 사는 사회’/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열린세상] 가치를 섬기는 ‘잘 사는 사회’/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입력 2013-02-15 00:00
업데이트 2013-02-15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대선 즈음에 언급한 ‘잘 살아 보세’ 발언이 묘한 여운을 남긴다.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이룩한 잘 살아 보세 신화를 다시 이뤄보겠다는 부전여전 대통령의 역사적 연결고리를 연상케 하면서, 동시에 지금 시대에 잘 산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하는 의문을 갖게 한다. 만약 박 당선인의 잘 살아 보세가 박정희 시대의 의식주 문제 해결의 연장선상인 경제적 성장, 물질적 풍요, 개인의 행복 등에 국한하는 것이라면 시대적 흐름이나 과제와 엇박자를 내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든다. 왜냐하면 이제 어느 정도 경제적 성장을 이룬 우리가 선진국처럼 잘 살아 보세 하려면 빠른 시간 안에 힘겨운 산업화를 이루느라 잊고 살아온 선진적인 가치들을 배우고 추구하고 섬기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최근의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와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의 낙마 과정은 이 시대에 잘 사는 것이 무엇인지를 잘 보여준다. 본인들로서는 억울한 측면이 없지 않겠지만, 큰 틀에서 보면, 의식주 문제를 넘어 돈과 명예·권력을 획득하며 성공적으로 잘 살아 오신 분들이 사회적 가치의 잣대를 들이대니 갑자기 그다지 잘 살아 오지 않은 분으로 판명난 꼴이다. 새 정부에서 중용할 만한 많은 사회적 명사들이 후보 검증 과정이 두려워 공직에 나서지 못한다고 하니, 잘 사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가치의 문제를 새삼 곱씹게 한다.

이 과정에서 박 당선인은 공직 후보자 검증이 지나쳐서 후보자들이 상처를 입지 않을까 우려된다는 발언을 했다. 관련 댓글을 봤더니 시민들의 비판과 비난, 분노와 야유, 심지어 욕설로 넘쳐났다. 2013년판 잘 살아 보세를 두고 권력자와 시민 간의 골 깊은 인식의 차가 느껴져 순간 아찔했다. 어느새 우리 사회도 정의·배려·사랑·봉사 등과 같은 사회적 가치를 구현하는 삶들이 모여 잘 사는 사회, 즉 선진국에 이르게 한다는 사실에 공감대가 형성된 것일까.

사실, 우리 사회가 진정으로 잘 사는 선진국이 되지 못하게 하는 많은 문제들은 존재의 이유, 다시 말해 사회적 가치를 망각함으로써 발생하고 있다. 정치인을 포함한 공직자들은 공사 구별이 불분명하고 공적 가치보다 이기적인 행복을 추구할 때 후진적인 공직자로 처져 문제를 일으킨다. 대한민국 교육은 교육의 목적, 학교의 존재 이유에서 이탈하여 후진적인 입시 위주의 주입식 교육에 매몰돼 있다. 선진국 학생들은 다양한 과목을 학습할 때, 왜 이 과목을 배우는지 분명이 알고 느낀다. 학습의 가치를 실감하는 학생은 행복하다. 영문도 모르고 시험을 위해 과목을 외워야 하는 한국 학생들은 불행하다. 그래서 교육 개혁은 존재 이유와 가치문제의 천착과 성찰에서 출발해야 한다.

공영적 방송사와 신문사, 포털뉴스 등 언론이 망가지는 모습도 저널리즘 가치의 위기에서 비롯됐다. 낙하산 사장이 지배하는 공영적 방송사, 사주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신문사, 상업주의에 매몰된 포털뉴스 등은 저널리즘의 가치를 정치·경제적 이해관계에 종속시킴으로써 가치의 위기를 자초하고 있다. 많은 대기업들도 오너의 이기적 경영이 지나쳐 기업의 공적·사회적 가치를 망각함으로써 개혁의 대상으로 지목되곤 한다.

잘 살아 보세는 모든 분야에서 본연의 존재 이유, 사회적 가치를 성찰하고 추구하고 섬기는 사회를 만드는 일과 직결된다. 흥미로운 사실은 우리가 가치를 추구할 때 행복해지고 잘 살 수 있는 것이지, 행복을 추구한다고 진정한 행복에 도달하고 가치가 추구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경영철학서의 많은 충고는 ‘돈을 추구하는 기업은 결국 망하고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만 돈을 번다’는 메시지로 요약되는 것과 같다. ‘삶의 작은 교훈서’로 세계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미국의 잭슨 브라운은 “잘 사는 삶이란 자식들이 공정, 배려, 정직을 생각할 때 당신을 떠올리는 삶”이라고 했다. 곧 대통령에 취임하는 박 당선인의 잘 살아 보세가 추구하는 가치는 무엇일까. 그게 무엇이든, 가치를 섬기는 박 당선인의 마음이 우리 사회를 ‘진정 잘 사는 사회’로 만들기 바란다. 그런데 나는 오늘 삶을 이끄는 어떤 가치를 섬기며 사는 것일까?

2013-02-15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