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세종시에 세계언어박물관을 세우자/김주성 한국교원대 총장

[열린세상] 세종시에 세계언어박물관을 세우자/김주성 한국교원대 총장

입력 2013-11-06 00:00
업데이트 2013-11-06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한류의 붐을 타고 우리는 공세적인 언어정책을 펴고 있다. 한류의 전진기지로서 작년에 출범한 세종학당은 벌써 51개국의 117곳에서 25여만명의 세계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감격스럽다. 우리 역사상 외국인들이 이렇게 우리말을 배우려 한 적이 있는가. 하물며 고려 때 광종이 과거제도를 도입한 이래, 우리는 중국어를 배우고 쓰면서 우리말을 버리다시피 하지 않았던가. 그래서 그런지 감격의 끝자락에 불안감이 따라붙는다. 세계인들은 언제까지 우리말을 배우고자 할까. 언제까지 한류가 지속될까. 세종학당이 한류의 전진기지라면 한류는 세종학당의 존재 이유다. 문제는 한류가 영속될 수 있을 만큼 우리 문화의 폭과 깊이가 충분한지 걱정된다는 데에 있다. 우리 문화의 창조력을 견인할 특별수단으로써 세계언어박물관을 세울 것을 제안한다.

김주성 한국교원대 총장
김주성 한국교원대 총장
최근 방한한 구글의 에릭 슈밋 회장이 예찬했듯이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직관적인 문자”이다. 다시 말해서 표음능력이 가장 뛰어난 글자이다. 세종대왕도 자신했듯이 한글로 표시하지 못할 소리는 거의 없다. 일본어는 200개 가까운 음을 쓰고 있고, 중국어는 4성을 무시하면 400여개의 음을 쓰고 있지만, 우리말은 무려 2400여개의 음을 쓰고 있다고 한다. 한글이 아니라면 이렇게 많은 소리를 어떻게 표기할 수 있겠는가. 일본 가나나 중국 한자로 우리말을 표기하려 한다면 이처럼 무모한 짓도 없을 것이다. 통일신라 때 우리말을 한자로 표기하기 위해 개발된 향찰이 곧바로 실패한 까닭이 여기에 있다. 여하튼 사라져가는 수많은 소수언어를 음사할 수 있는 글자는 전 세계 문자 가운데 한글밖에 없다. 물론 음성학적인 필요에 따라 한글을 변형해서 표기할 필요가 있겠지만 말이다. 세계언어박물관은 우리가 아니면 누구도 엄두를 못 낼 것이다.

현재 세계에는 6000가지의 언어가 존재한다고 한다. 그 가운데 40여개의 언어만이 문자를 가지고 있다. 세계화 시대에 문자가 없는 대부분의 언어들은 머지않아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소수언어들이 사라지면 언어 다양성이 축소되고 문화 다양성이 위축될 것이다. 세계문화는 활력을 잃게 될 것이 뻔하다. 온난화로 인한 멸종위기로 생물종의 다양성이 사라지면 지구 자연이 불모지처럼 되는 것과 별다름 없다.

생물종의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 기후협약을 맺고, 멸종위기의 동물을 복원하는 국제적인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언어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해서도 이와 비슷한 노력이 필요하다. 유네스코는 바벨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1997년에 열린 유네스코 제29차 총회에서 승인한 사업인데, 토착민의 언어와 소수자의 언어를 보호하여 언어 다양성을 확대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노력으로도 곧바로 사라질 위기의 소수언어를 충분히 보호할 수 없다. 소멸위기의 언어를 보존하려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 세계언어박물관을 세워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세계언어박물관을 세운다면 한류를 영속화할 수 있는 우리 문화의 힘도 키울 수 있다. 그 까닭은 강대국들이 박물관을 세운 이치와 같다. 영국이 대영박물관을 세우고, 프랑스가 루브르박물관을 세운 목적이 무엇이겠는가. 세계의 다양한 문화재들을 한곳에 모아 놓았으므로, 특히 감수성이 큰 청소년들이 언제든 둘러보고 연구할 수 있다. 천재들은 이 과정에서 다양한 문화유산을 융합하여 새로운 문화창조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강대국이 문화강국인 까닭이 여기에 있다. 만일 세계언어문화를 한곳에 모아 놓는다면, 더욱 대단한 문화창조력이 태어날 것이다. 언어는 문화재보다도 훨씬 풍부한 문화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세종시에 세계언어박물관을 세우자. 세종시는 세종대왕을 기념하는 도시이다. 행정복합도시로 출발했지만 궁극적으로는 문화도시가 되어야 한다. 통일되면 아마도 우리는 통일수도를 한반도 가운데쯤에 새로 세우지 않겠는가. 최근 옮겨간 세종시의 행정부서들은 또다시 옮겨가야 할지 모른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세종시는 문화도시로 환골탈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해 두어야 한다. 세계언어박물관을 세운다면 자연스럽게 해결될 문제이다.

2013-11-06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