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률 경쟁심리로 잇단 조기종영

지상파 방송사들의 잇따른 예능프로그램 폐지가 시청자들을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 경쟁사 프로그램에 대한 견제 심리와 함께 시청률에 쫓기는 방송사들의 고질적인 불안감이 깔렸다는 분석이다.

tvN의 ‘SNL코리아’나 jTBC ’썰전’, MBN ‘황금알’ 등 케이블이나 종합편성채널의 예능이 힘을 얻으면서 시청률 경쟁은 격화되고 있다. KBS 예능국은 최근 7회까지 방송한 ‘달빛프린스’를 대대적으로 개편하고, ‘해피선데이-남자의 자격’을 폐지하기로 했다. 대표 예능 프로그램인 ‘해피선데이-1박2일’마저 수술대 위에 올렸다. ‘달빛프린스’는 평균 3~4%의 낮은 시청률에 머물렀던 터라 제작진은 대폭 수술에 들어간다. 진행자 강호동만 남기고 제목과 형식을 모두 바꾼다는 점에서 사실상 폐지나 다름없다는 반응이다.

‘남자의 자격’ 폐지는 어느 정도 예고된 일이다. 2010년 5월 첫 방송 이후 3년간 진행하면서 소재 고갈에 직면했다. 같은 시간대의 MBC ‘아빠! 어디 가’와 SBS ‘K팝스타2’에 밀리는 등 외부적인 상황이 작용했다. 간판 예능프로그램인 ‘1박2일’도 시즌2부터 1년간 프로그램을 맡아온 최재형 PD가 물러나는 등 큰 틀의 변화가 예고된다.

앞서 MBC는 지난 1월 야심 차게 막 올린 ‘토크클럽 배우들’을 지난 4일 7회 만에 문을 내렸다. 8년 장수 예능 프로그램인 ‘놀러와’의 후속작이었으나 시청률이 2.4%까지 떨어지며 고전했다. 방송 말미에 출연진 멘트도 없이 자막으로 짤막하게 종영 소식을 전한 것은 전작인 ‘놀러와’와 닮은꼴이다.

이런 조기 종영은 지난해 KBS와 MBC 등 방송사 파업이 극에 달하며 봇물 터지듯했다. 과도한 성과주의에 흔들렸던 MBC는 프로그램 14개를 조기에 폐지했다. 이 중 파일럿 프로그램이 7개였다. 파업에 따른 간판 예능의 결방을 대체하려고 ‘신동엽의 게스트하우스’, ‘반지의 제왕’ 등 파일럿 프로그램을 쏟아냈고, 모두 하루 만에 접었다. 정규 프로그램 중에서는 ‘일밤’의 ‘룰루랄라’, ‘남심여심’, ‘승부의 신’ 순으로 4개월마다 한 번씩 새로운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폐지했다. ‘정글러브’, ‘주얼리하우스’, 시트콤 ‘엄마가 뭐길래’ 등은 각각 2개월 만에 사라졌다.

무엇보다도 갑작스러운 폐지와 자막으로 폐지 통보하는 것은 방송사가 시청자를 전혀 배려하지 않는다는 방증이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프로그램의 폐지는 리스크까지 감수하고 나선 방송사의 선택이지만, 출연진과 시청자에 대한 예의 차원에서 종료를 자막으로 알리는 것 등은 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