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눈은 부와 권력의 추악한 이면을 파고든다. 시청자들은 그가 부와 권력을 거머쥐는 것을 보면서 대리만족을 느낀다. 하지만 더러는 그의 눈이 품은 욕망의 광기를 두려워하기도 한다. 한없이 맑고 부드러웠던 그의 눈빛은 이처럼 복잡하고 다채로운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17일 종영을 앞둔 SBS 월화드라마 ‘황금의 제국’의 고수(35) 이야기다.
종영을 앞둔 SBS 드라마 ‘황금의 제국’에서 부와 권력을 쥐려고 분투하는 ‘태주’를 연기하는 배우 고수. 가난한 대학생에서 야망에 불타는 기업가에 이르기까지 극적인 캐릭터들을 흠결 없이 소화했다는 평을 듣는다.<br>비에이치엔터테인먼트 제공
그가 TV에서 보여왔던 이미지는 주로 반듯하고 부드러운 로맨티스트였다. 영화에서는 ‘백야행’(2009), ‘초능력자’(2010) 등을 통해 강렬한 캐릭터에 도전해 왔지만 드라마 ‘순수의 시대’(2002),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2009) 등에서는 아련한 눈빛으로 여심을 뒤흔들었다. 그랬던 그가 4년 만의 브라운관 복귀작인 ‘황금의 제국’에서는 부와 권력을 쥐기 위해 싸우는 ‘태주’를 연기했다. 1990년부터 2010년까지 격동의 한국 경제사를 배경으로 태주는 가난한 법대생에서 냉철한 기업가로 성장했다. 막바지로 치닫고 있는 극 속에서 그는 거대 그룹의 수장 자리를 놓고 재벌 가족과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힘 겨루기를 하고 있다.

고수
드라마 종영을 앞두고 최근 서울 강남구 논현동의 한 커피숍에서 만난 그에게서는 홀가분함보다 여전한 긴장감이 엿보였다. “저로서는 처음 해보는 장르였어요. 또 드라마에서는 새로운 캐릭터에 대한 도전이었죠. 한없이 욕망을 좇는 태주를 연기하는 제 모습이 어떨지 스스로도 많이 궁금했고, 시청자들이 어떻게 받아들일지도 궁금했어요.” 그는 ‘즐거우면서도 치열하게 고민하며 연기했던 작품’이라고 돌이켰다. 식탁에서의 대화로 부와 권력의 행방이 결정되는 재벌가에서 인물들은 철학적이고 의미심장한 말들을 무기로 기싸움을 벌인다.

“평소 말할 때보다 목소리를 몇 배는 더 낮게 깔아야 했어요. 거기에 호흡이 긴 문어체 대사를 하니 마치 연극 무대에 선 느낌이었습니다.”

‘황금의 제국’은 20년의 세월을 단숨에 관통한다. 대사 하나를 놓치면 다음 회를 따라잡기 힘들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그 20년에 걸친 태주의 변화를 제대로 그리는 게 시청자들의 집중을 이끌어내는 관건이었다. 그리고 고수는 극적인 캐릭터의 변신 속에서 태주라는 인물에 설득력을 부여했다. 그 비결은 캐릭터를 변화시키되 현실성 있게 그 폭을 조절한 거였다고 설명했다. “권력에 집착하는 태주에게서 극적인 효과를 얻으려면 어릴 적 모습은 해맑고 순수해야 한다고들 했지만 제 생각은 그 반대였어요. 엄청난 야망을 좇는 태주를 자연스럽게 묘사하기 위해선 대학생 시절의 태주도 다소 경직된 캐릭터로 다듬어야 한다는 판단이었죠.”

태주는 권력에 희생된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그 권력을 가지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 역시 무소불위의 권력 자체가 돼 간다. 사랑하는 연인에게 자신의 살인죄를 뒤집어씌우는가 하면, 강제 철거로 아버지를 잃은 상처가 있으면서도 자신의 사업이 위기에 처하자 강제 철거를 지시하기도 한다.

자신이 실제로 태주였다면 어땠을지 물었다. “저라면 시작도 안 했죠. 물질, 힘, 황금 그런 것들을 바라지도 않아요… 하지만 끝에는 태주가 모든 걸 가졌으면 좋겠어요. 아버지가 희생당한 강제 진압을 지시한 사람이 누군지 밝혀내고, 그 사람을 제치고 자신의 초상화를 회장 자리에 한번쯤은 걸어봤으면 해요.”

그는 드라마가 방영되기 전 제작발표회 때 “돈을 많이 버는 것과 돈은 없어도 행복하게 사는 것 중 어느 게 성공한 삶인지 모르겠다”고 밝힌 적이 있다. 종영을 앞둔 지금은 그 답을 찾았을까. “황금을 손에 쥔다면 삶이 편하기는 하겠죠. 하지만 황금을 쥐기까지의 기싸움은 정말 피곤하더라고요. 그저 소박한 식탁 앞에서 즐겁게 식사할 수 있는 그 삶이 더 나은 것 같아요.”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