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1 3일밤 ‘다큐극장’

한국은 과거 민둥산 비율이 50%에 이를 정도로 산림이 극도로 황폐한 나라였다. 유엔조차 “산림의 황폐화가 고질적이라 도저히 어찌할 수 없다”는 평가를 내렸던 터였다. 이랬던 나라가 어떻게 불과 수십년 만에 산림 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걸까. 세계인들이 기적이라며 감탄하는 대한민국 산림 녹화 성공의 역사를 KBS 1TV ‘다큐극장’에서 되짚어 본다. 3일 밤 8시 방영되는 ‘민둥산의 기적, 산림녹화’ 편이다.

3일 KBS 1TV ‘다큐극장’은 우리나라가 경제를 성장시키면서도 동시에 울창한 산림까지 가꿀 수 있었던 비결을 들여다본다.<br>KBS 제공


한국전쟁 이후 우리나라는 흔히 흰색과 붉은색으로 표현됐다. 나무 한 그루 없는 붉은 땅에서 흰옷을 입고 사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당시 황폐한 산림은 육안으로 보기에만 비참한 것이 아니라 그 땅을 터전으로 사는 국민들의 삶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다. 비가 조금만 와도 산에서 흙이 씻겨 내려와 하천과 강바닥이 높아지면서 홍수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전답이 매몰되면서 폐농이 속출했다. 반대로 조금만 가물어도 하천과 강의 발원지인 산과 계곡이 순식간에 마르면서 시도 때도 없이 흉년이 찾아왔다. 산의 저수 능력도 지금의 10분의1에 불과해 국민들은 일상처럼 물 부족에 시달렸고 생태계는 사막화 직전의 위기에 놓여 있었다.

이승만 정부는 매년 식목일 행사를 주도하며 조림사업을 수도 없이 구상하고 실시했지만 성과는 미미했다. 게다가 나무를 한 토막이라도 내다 팔면 현금을 쥘 수 있는 시절이었으니 생계형을 넘어 기업형 도벌까지 기승을 부렸다. 마침내 ‘한반도의 허파’라 일컬어지던 지리산마저 폐허의 민둥산이 될 위기에 놓인다. 하지만 이제 대한민국은 세계가 인정하는 산림 강국이다. 1969년 한국의 산림 황폐화는 고질적이라서 치유 불가능하다는 평가를 내렸던 유엔에서도 1982년 유엔식량농업기구(FAO) 보고서를 통해 “한국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산림 복구에 성공한 유일한 국가”라고 했다. 전 세계 환경정책의 대부라 불리는 레스터 브라운은 자신의 저서 ‘플랜B 2.0’을 통해 “한국의 산림녹화는 세계적 성공작”이라며 격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는 세계적 임목육종학자 현신규 박사 등 대한민국 산림 녹화의 선각자들, 그리고 녹화 조림에 열과 성의를 다한 국민들이 합쳐 만들어 낸 승리의 역사였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