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할배’ 표절 논란 휩싸인 ‘마마도’ 여행·젊은 도우미 등 진행 방식 유사

KBS ‘마마도’가 베끼기 논란 속에 뚜껑을 열었다. 그러나 첫 방송이 논란을 완전히 일축시키지 못하면서 차별화의 부담이 더 커졌다. 예능 프로그램에서 성공한 타 방송사의 포맷을 차용하는 건 흔한 일이다. 또 다른 재미를 선사하며 예능의 트렌드를 이끌어 간 프로그램이 있는 반면 더러는 베끼기의 한계를 넘지 못하고 사라졌다. 베끼기에 성공해 ‘진화’하거나 어정쩡하게 베껴 ‘아류’로 주저앉거나 둘 중 하나다.

평균 연령 76세의 ‘할배’ 배우들이 배낭여행에서 좌충우돌하며 겪는 이야기를 담은 tvN ‘꽃보다 할배’.<br>tvN 제공


연기 경력 50년의 베테랑 여배우들의 여행기를 그린 KBS ‘엄마가 있는 풍경-마마도’. ‘마마도’는 ‘꽃할배’의 얼개를 베꼈다는 논란 속에 지난달 29일 첫 전파를 탔다.<br>KBS 제공<br>


지난달 29일 처음 전파를 탄 ‘엄마가 있는 풍경-마마도’는 시청률 10.2%(닐슨코리아, 전국 기준)로 무난하게 출발했다. 그러나 방영 후에도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tvN ‘꽃보다 할배’(이하 꽃할배)를 베꼈다는 논란이 가시지 않고 있다. 기본적인 틀 곳곳에서 ‘꽃할배’의 요소들이 그대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네 여성 출연자(‘마마’)를 연령에 따라 서열을 정한 것, 젊은 남자 배우가 도우미로 동행하는 것, 중간중간 개별 인터뷰를 끼워 넣은 것 등은 ‘꽃할배’와 마찬가지였다. 반면 청산도의 아름다운 풍광과 음식을 즐기며 잠자리를 놓고 복불복 게임을 벌이는 것 등에서는 오히려 KBS ‘1박 2일’의 할머니 버전 또는 ‘6시 내고향’을 보는 듯하다는 반응도 나왔다.

‘꽃할배’와 다른 지점은 네 마마의 거침없는 돌직구 발언과 욕설, 신경전이었다. ‘역시 진격의 할매들’이라는 반응과 ‘보기 불편하다’는 반응이 엇갈렸다. 제작진이 차이점으로 강조했던 “연륜을 바탕으로 들려주는 인생의 스토리텔링”은 다음 방영분 ‘내 인생의 시사회’로 미뤄졌다. 트위터 이용자 ‘outr****’은 “‘꽃할배’에 ‘1박 2일’의 요소를 곳곳에 배치한 프로그램인데 여기서 어떻게 다른 콘셉트를 보여 줄지는 더 지켜봐야 할 일”이라고 평가했다.

이처럼 예능 프로그램의 베끼기 논란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1990년대까지 일본 프로그램을 대놓고 베끼던 방송사들은 2000년대 후반부터 타 방송사의 성공한 포맷을 가져다 쓰기 시작했다. MBC ‘무한도전’에 활용됐던 남성 집단 MC들의 오지 여행은 ‘1박 2일’로 이어졌고 SBS는 혼성 집단 MC들의 시골 체험이라는 ‘일요일이 좋다-패밀리가 떴다’를 내놓았다. KBS가 ‘아이돌 버전 나가수’인 ‘불후의 명곡’을 내놓은 것, tvN ‘슈퍼스타K’가 성공하자 오디션 프로그램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것 등도 이런 사례다. 두 프로그램에서 각각 성공한 요소들을 따와 한데 섞는 경우도 많다. MBC ‘일밤-아빠 어디가’가 SBS ‘스타주니어쇼-붕어빵’과 ‘1박 2일’을, SBS ‘슈퍼매치’가 MBC ‘나는 가수다’와 ‘불후의 명곡’을 섞어 놓은 식이다.

타 프로그램의 포맷을 차용했다고 해서 전부 ‘베끼기’ 오명을 뒤집어쓰지는 않는다. ‘불후의 명곡’ ‘1박 2일’ 등은 기존 예능과의 차별화에 성공하면서 안정적으로 자리 잡은 사례다. 이는 같은 포맷 위에 ‘플러스 알파’의 요소가 있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SBS ‘K팝스타’는 ‘슈스케’의 오디션 포맷만 가져왔을 뿐 대형 기획사 3사가 주로 10대 출연자들을 심사하고 영입하면서 전혀 다른 이야기가 나왔고, ‘1박 2일’은 집단 MC 체제에 여행을 깊이 있게 다루면서 아웃도어 예능을 만들어 냈다”면서 “포맷은 같더라도 그 안에 새로운 소재와 콘셉트를 펼치면 전혀 다른 재미를 준다”고 분석했다.

‘마마도’를 비롯해 조만간 첫 전파를 타는 KBS ‘슈퍼맨이 돌아왔다’, SBS ‘심장이 뛴다’ 역시 ‘아빠 어디가’와 MBC ‘일밤-진짜사나이’와 유사하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정 평론가는 “기존 프로그램과 틀이 비슷하다 해도 소방관, 육아 등 소재의 특징을 살려 다른 스토리텔링을 시도한다면 대중을 납득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