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층 고령화… 가족시청 시간대로 부상

밤 9시대가 예능 프로그램의 새로운 ‘골든 타임’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전통적인 예능의 프라임 시간대는 밤 11시대. 방송사들이 각 사의 간판 예능 프로그램을 집중 배치해 왔다. 그에 반해 오랫동안 뉴스시간이었던 밤 9시대는 사각지대로 통했다. 그러던 것이 최근 시청패턴의 변화로 예능 골든타임이 9시대로 앞당겨진 것.
KBS ‘엄마가 있는 풍경 마마도’.
SBS ‘월드 챌린지-우리가 간다’.


9시 예능 결투장에 불꽃경쟁을 불러온 주역은 tvN ‘꽃보다 할배’다. 매주 금요일 밤 8시 50분에 방송된 이 프로그램은 화제성과 시청률 모두에서 대박을 터뜨리며 평일 밤 9시대를 주목하게 했다. 또한 MBC, SBS의 메인 뉴스 시간이 8시로 옮겨지면서 상대적으로 가려졌던 가족 시청층을 잡을 수 있는 9시대가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인식된 것이다.

SBS는 지난 7일부터 매주 월요일 밤 8시 55분 새 예능 프로그램인 ‘월드 챌린지-우리가 간다’를 편성했다. 전현무, 이종수, 박효준, 이지훈, 백성현 등 연예인들이 전 세계의 이색 대회에 참가하는 과정을 그린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다. KBS도 ‘꽃보다 할배’의 여성판으로 파일럿(시험판) 프로그램 때부터 큰 화제를 불러 모았던 ‘엄마가 있는 풍경 마마도’를 매주 목요일 밤 8시 55분에 편성했다. MBC는 지난 3월부터 월~금요일 밤 9시대에 일일 사극 ‘구암 허준’을 방영한 데 이어 지난달 30일부터 후속으로 ‘제왕의 딸, 수백향’을 방송하고 있다.

이처럼 KBS 1TV에서 방영되는 뉴스를 제외하고는 밤 9시가 예능 및 드라마의 새로운 격전지로 변하고 있다. 현재 9시대에 방영되는 SBS ‘한밤의 TV연예’나 KBS 2TV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와 ‘위기탈출 넘버원’ 등도 시청률 6~9%를 기록하고 있다. SBS에서 매주 목요일 밤 8시 55분 방영되는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는 지난 17일 시청률 12%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14일 SBS ‘힐링캠프’(6.2%), 15일 KBS ‘우리동네 예체능’(5.2%), 16일 MBC ‘라디오 스타’(7.2%), 17일 KBS ‘해피 투게더’(7.7%)로 밤 11시 프라임 예능 시간대의 시청률과 비슷하거나 웃도는 수준이다.

케이블 TV 쪽도 밤 9시대를 적극 사수하겠다는 모양새다. tvN은 여진구, 하연수 주연의 일일 시트콤 ‘감자별 2013QR3’을 현재 월·화 밤 9시 10분 방영에 들어갔고, 오는 28일부터는 월~목요일 주 4회 편성을 계획 중이다. 또한 tvN은 하반기 최고 기대작인 드라마 ‘응답하라 1994’를 지난 18일부터 매주 금·토 밤 8시 50분에 편성했다.

지난 4일 막을 내린 ‘꽃보다 할배’ 시즌 1의 후속으로 기존에 확보한 고정 시청층을 고스란히 드라마로 옮겨온다는 설정이다. 이 드라마의 전신 격인 ‘응답하라 1997’은 화요일 밤 11시에 방영됐었다. ‘응답하라 1994’의 연출을 맡은 신원호 PD는 “‘응답하라 1997’이 미니시리즈 같은 느낌이었다면 ‘1994’는 따뜻함을 많이 담아 주말극의 성격이 강하다. 그래서 온 가족이 다 함께 볼 수 있는 밤 9시대를 공략하기로 했다”면서 “처음에는 그 시간대가 불안하기도 했는데 ‘꽃보다 할배’가 성공하는 걸 확인하고는 안심했다”고 말했다.

방송 관계자들은 이처럼 밤 9시대가 ‘골든 타임’으로 굳어진 이유로 TV 주요 시청층이 중장년층으로 고령화되는 데다 밤 9시가 새로운 가족 시청 시간대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한 지상파 예능 CP는 “최근엔 인터넷 등으로 뉴스를 소비하는 시청자가 많아진데다 그마저도 뉴스 방송 시간대가 앞당겨져, 상대적으로 밤 9시가 가족들이 둘러앉아 예능 프로그램을 볼 수 있는 시간대로 옮겨진 듯하다”고 파악했다. 지상파 TV에 대한 젊은층의 이탈이 가속화되고, 밤 9시대가 상대적으로 중장년층의 시청이 활발한 시간대가 됐기 때문이라는 풀이다.

SBS 관계자는 “최근 밤 11시보다 9시대의 시청자가 많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 이는 뉴스의 중심이 밤 8시로 이동하고 10시는 드라마가 자리잡은 만큼 9시에 대한 시청자들의 새로운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는 방증”이라면서 “이 같은 결과를 이번 가을 개편에서도 적극 반영했다”고 말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