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테사 모리스 교수의 진실 추적 10년…KBS 파노라마 ‘북송’ 5·6일 2부작 방영

1959년부터 25년 동안 재일동포 9만 3340명이 북한으로 향하는 배에 올랐다. 일본과 북한이 맺은 ‘재일 조선인 송환협정’에 따른 조치였다. 그리고 이들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그 진실은 반 세기 만에 호주의 한 교수를 통해 드러났다. 호주국립대의 테사 모리스 교수는 2004년, 30년 만에 기밀 해제된 국제적십자위원회의 문건을 찾아내고 10년 간 일본의 재일조선인 북송 사업의 실체를 추적했다.

1959년부터 25년 동안 일본의 북송사업에 따라 10만여명의 재일동포들이 북한 청진항을 통해 북한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이들은 북한에서 극심한 빈곤과 차별을 경험해야 했다.<br>KBS 제공
5일과 6일 방영되는 KBS 1TV ‘KBS 파노라마’는 ‘북송’편을 통해 테사 모리스 교수와 함께 북송 사업의 은폐된 진실을 파고든다. 1950년대 일본 정부는 당시 재일동포 60만명을 사회 혼란의 원인이자 골칫거리로 지목했다. 1955년 일본적십자사를 필두로 일본의 ‘북송 프로젝트’는 본격화됐고, 1959년 2월 일본 정부는 인도적 차원에서 희망자를 북한으로 돌려보낸다는 ‘재일조선인 북송 사업’ 추진을 공식화했다.

대부분 남한 출신이었던 이들이 북한행을 택한 건 오로지 살기 위해서였다. 이들은 국적이 상실되고 일본 정부의 지원금마저 줄면서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렸다. 한국 정부마저 이들을 ‘불순분자’로 여기며 귀국을 허락하지 않았다. 당시 북한행을 희망했던 이들은 140여명이었지만 결국 10만명에 가까운 이들이 북한으로 보내졌다.

일본과 북한 사이에 은밀하게 추진됐던 이 사업이 탄력을 받은 건 국제적십자사의 개입이었다. 남한 정부가 강력하게 반대하고 나선 가운데 국제적십자사는 ‘정치적인 사안’이라며 손사래를 쳤다. 그러나 일본의 설득으로 1956년 돌연 입장을 바꿔 참여 의사를 밝혔다. 일본 정부는 이 사업을 ‘인도주의적’ 사안이라고 포장해 비정치적인 조직을 정치적 사안에 교묘히 이용했다.

미국과 한국도 ‘침묵’을 지킨 공범이었다. 일본과의 안전보장 조약을 앞두고 있던 미국은 ‘인도적 차원’이라는 일본의 논리 속에 자유주의 국가에서 사회주의 국가로의 대량 이주를 방조했다. 이승만 정부 역시 “단 한 명의 재일동포도 북송되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고 반발했지만 정작 남으로 돌아오라는 이야기는 없었다.

재일동포 사회에서는 조총련을 중심으로 북한으로의 귀국을 촉구하는 운동이 전개됐다. 무상 주택과 교육, 복지, 직업 등 장밋빛 미래가 이들을 손짓했다. 그러나 이들의 꿈은 청진항에 다다른 순간 깨졌다. 북한에서의 삶은 일본에서보다도 더 궁핍했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왔다는 등의 이유로 2등 국민 취급을 받았다. 후회와 억울함, 배신감 속에 이들의 일부는 한국과 일본으로 다시 돌아갔다. 당시 재일동포들은 조총련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등 이들의 비극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