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기사이미지
다음 기사이미지
송중기 송혜교
태양의 후예 송중기 송혜교
태양의 후예 스페셜
태양의 후예 시청률, 송중기 송혜교
드라마 ‘태양의 후예’의 송중기.<br>사진 KBS제공
송혜교, 송중기와 홍콩 셀카
송혜교 송중기 김지운 감독
송중기 송혜교


최근 인기리에 종영된 KBS2 드라마 ‘태양의 후예’(태후)는 송중기, 송혜교가 주연을 맡아, 소위 ‘대박’을 낸 이 드라마는 인기 못지 않게 PPL(Product Placement, 간접광고) 논란으로도 뜨거웠다.

26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은 PPL에 대한 시청자 인식과 광고효과에 대해 성인남녀 10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설문 참여자 중 ‘PPL에 거부감이 생긴다’고 한 응답자는 55%로 ‘거부감을 느끼지 않는다(45%)’는 응답자보다 10%p 많았다.

‘PPL이 광고임을 떳떳이 드러내지 않아서 시청자를 기만한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60.8%의 응답자들이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하지만 ‘PPL이 프로그램의 흐름을 깨고 몰입을 방해한다고 느끼는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8.9%가 ‘그렇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56.1%는 ‘PPL이 합법적인 광고 방식임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68.5%는 ‘PPL이 법적으로 허용되는 정도를 초과해서 등장하는 것처럼 인식된다’고 답했다. 10명 중 7명 가까이가 PPL이 법적 허용 범위보다 과하게 사용된다고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PPL이 시청자의 소비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브랜드 인지도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84.6%로 가장 높았다. ‘제품 판매에 효과적(77.2%)’ ‘PPL이 우호적 태도 형성에 효과적(55.8%)’이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PPL로 제작비를 충당한다면 어디까지 PPL을 용인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송중기, 송혜교와 같은 스타가 나온다면 1~2개의 PPL은 용인한다’ 는 응답이 66.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송중기, 송혜교와 같은 스타가 나오더라도 PPL은 싫다(14.7%)’ ‘송중기, 송혜교와 같은 스타가 나온다면 PPL이 많아도 상관없다(18.9%)’ 순이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시청자들은 PPL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거부감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며 “규정 내에서 PPL을 적절히 활용하면서 콘텐츠 품질을 향상시켜 시청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5월 17일에서 19일까지 20~50대 성인남녀 1071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18.0%(이메일 발송 5941건, 최종 응답 완료 1071명)이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 포인트다.

사진 = 서울신문DB

연예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