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릴러 영화 ‘숨바꼭질’서 강박증 엄마로 열연한 문정희

예쁜 모습은 아니었다. 배우 문정희(37)는 지난 9일 트위터에 자신의 발 사진을 찍어 올렸다. 영화 ‘숨바꼭질’(14일 개봉) 촬영 중 빠졌다는 발톱 자리에 검푸른 멍 자국이 여전했다. 그날 서울 중구 회현동의 한 호텔에서 만난 그는 “액션 장면이 많았지만 발톱 몇 개 뽑힌 것 말고는 무난한 편이었다”며 담담했다. 뼈라도 부러지길 각오했던 듯한 배우의 근성이 느껴졌다.

‘숨바꼭질’의 주희는 근래 한국영화에서 보기 드문 폭발적인 캐릭터다. 문정희가 “예쁘게 보이기보다 멋지게 해내고 싶다”는 마음을 먹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br>
문정희가 주희 역을 맡은 ‘숨바꼭질’은 스릴러 영화다. 남부러울 것 없이 중산층으로 살아가던 성수(손현주)는 어느 날 형이 실종됐다는 전화를 받는다. 형이 머물던 어느 항구도시의 다세대 아파트에는 주희가 딸과 함께 살고 있다. 형의 행방을 찾는 성수 가족에게 차를 대접하게 된 주희는 성수의 형이 누구인지를 듣자 “당장 이 집에서 꺼지라”고 악을 쓴다. 주희를 비롯한 이웃들이 형에 대해 입을 닫으면서 사건은 점점 더 미궁에 빠진다.

주희는 영화의 전반과 후반에서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관객의 눈에 먼저 들어오는 건 치안이 위험한 동네에서 딸과 함께 살고 있는 엄마의 모습이다.

“주희는 집도, 먹을 것도 없는, 삶의 조건이 제대로 갖춰진 게 없는 인물이에요. 사회적으로도 배제돼 있고요. 그래서 삐뚤어진 구석이 있어요. 속으로는 모두 꼬여 있고, 여러 가지가 감추어진 인물이죠. 집을 잃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있어요. 말도 더듬고, 다른 사람과 눈도 못 마주치고, 움직임도 산만해요.”

주희는 강박증적인 인물이다. 내면은 불안하고 외부에는 배타적이다. 후반부에 180도 다른 모습을 보여 주는 배경이기도 하다. 문정희는 “여자 배우들은 보통 누구의 아내, 누구의 여자로 나올 뿐 이런 성격을 가진 역할은 거의 없다. 매우 드문 캐릭터라 욕심이 났다”고 했다.

“후반의 변화를 설명하려면 전반에 공을 들이는 게 맞을 것 같았어요. 이 여자의 전사(前史)를 세밀하게 보여 주려고 했죠. 얼굴이나 행색이 사람의 과거를 보여 주잖아요. 주희는 눈도 항상 찌그려 뜨고 어딘가 비대칭이죠. 그래서 눈썹도 마구잡이로 길렀고, 기미나 주근깨도 내버려 뒀어요. 내 안에도 어두운 면이 있을 텐데 그걸 극대화하려고 했죠.”

그는 설정상 항구도시에 머물고 있는 주희를 준비하기 위해 어렸을 적 살았던 인천의 부두를 여러 번 찾았다. 주희의 남루한 옷차림이나 어두운 표정은 그렇게 완성됐다. 그는 논리적으로 인물을 쌓아 올리지 못하면 연기에 들어가지 않는다. 감정에 빠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이성적 판단이 먼저다.

“객관적으로 보면 감정에 완전히 빠져서 할 때보다 살짝 아쉬운 듯한 느낌이 들 때가 더 좋은 경우가 많아요. 물론 이번에도 몰입해서 할 때는 감독님이 ‘아 또 도셨네요’ 하면서 웃었죠. 어떤 때는 100만큼 빠져야 하지만 어떤 때는 10만큼만 해야 돼요. 카메라의 움직임이라든가 현장에서 고려할 게 수만 가지는 되니까요. 저도 학교에서 스타니슬랍스키나 메소드 연기 같은 걸 배웠지만 옛날 얘기죠. 지금 그렇게 하면 아마 대빵 촌스러울 거예요.”

‘숨바꼭질’이라는 영화 제목과 달리 문정희는 숨기는 게 없었다. “시나리오와 영화가 달라 아쉬웠다”는 말도 서슴지 않았다. 편집상 주희의 중요 장면이 생략돼 아쉽다는 말도 했다. “예쁘게 보이는 데 별로 관심이 없다”는 말 역시 빈말로 들리지 않는다. 그는 “류현진과 박지성이 언제부터 모든 여자들의 연인이 됐느냐. 자기 위치에서 자기 일을 멋지게 해낼 때가 가장 멋지다”며 이렇게 덧붙인다. “예쁜 역할요? 그건 다음에 할게요.”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