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남녀가 마주한 욕망의 도시 도쿄

‘사랑에 빠진 것처럼(17일 개봉)’은 아주 인상적인 앵글로 시작한다. 카메라는 주인공 아키코(다카나시 린)의 옆자리에서 어두운 술집의 전경을 응시하고 있다. 특정 인물이나 공간을 보여 주려는 의도 없이 멍하니 허공을 바라보는 느낌이다.

남자친구와 통화를 하는 아키코의 목소리가 가까이에서 들려도 카메라는 반응하지 않는다. 친구인 나기사(모리 레이코)가 아키코 앞에 다가와 앉은 다음에야 카메라는 마치 깜박 잊고 있었다는 듯이 주인공을 비춘다.

하지만 그렇게 무심했던 시선은 곧 호기심으로 변하고, 저마다 가면을 쓰고 있는 인물들의 내면으로 깊숙이 다가간다. 아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은 조우(遭遇)로 시작해서 운명(運命)이 되어 버린 도쿄의 첫인상을 이런 방식으로 회상한다. 얼핏 평온해 보이는 도시 안에 꿈틀대는 역동성, 그 두 얼굴이 이 거장의 마음을 잡아끌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는 철저히 이방인이 아닌 예술가로서 이 낯선 공간을 장면화한다. 이국적인 문화와 풍경을 담는 데 집착했던 다른 외국 감독들과는 달리, 일본 영화 특유의 감성과 분위기를 섬세하게 살리면서도 새로운 프레이밍(framing)을 시도한 것이다.

이 영화의 배경인 도쿄의 밤과 낮처럼, 등장인물들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낮에는 대학생이지만 밤에는 남자들을 접대하는 아키코가 대표적이다. 누군가를 닮았다는 말을 많이 듣는 그녀는 여러 얼굴들 뒤에 가려진 자신의 진짜 모습을 찾기 어렵다.

유난히 일을 나가기 싫었던 밤, 아키코는 존경받는 전직 교수이자 학자인 다카시(오쿠노 다다시)를 고객으로 만나게 되고, 여기서부터 다카시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그는 박식하고 점잖지만 은밀히 대학생을 불러 로맨틱한 밤을 꿈꾸기도 하는 노인이다. 밤에는 아키코의 고객이었으나 해가 뜨자 그녀의 할아버지로 분하게 되는 상황극은 떳떳하지 못한 다카시의 이면을 드러낸다.

여기서 영화는 세 번째 인물, 아키코의 남자친구인 노리아키(가세 료)를 등장시킨다. 그는 이 영화에서 가장 평범하게 ‘사랑에 빠진 것 같은’ 인물이며, 아키코나 다카시와 달리 감추는 것도 없어 보인다. 그러나 애인에 대한 노리아키의 집착과 소유욕은 폭력을 동반하고, 건실한 경영인으로서의 이미지와 충돌한다. 결국 그는 자신의 여자를 지키고자 하는 연인에서 오히려 그녀를 궁지에 몰아넣는 악한으로 변하고 만다.

사랑의 주변부를 맴도는 이 세 사람은 우연히 다카시의 차에 타고 동행한다. 영화 내내 대화 장면에서조차 두 인물을 한 프레임에 담기 꺼려했던 카메라는 비로소 좁은 공간 안의 세 사람을 함께 보여 준다. 여기서 다카시의 차는 도시의 축소판이며 양면성이라는 주제를 함축하는 공간이다. 그리고 이들의 공존은 아키코의 시험과 자동차에 관한 대화 속에 얼핏 평화로워 보이지만 실상은 금방이라도 끊어질 것 같은 드라이브 벨트처럼 거짓과 오해로 인한 긴장감으로 곧 폭발할 것만 같다. 그러나 이들을 바라보는 감독의 시선은 뾰족하거나 차갑지 않다. 영화의 초반부에서 눈물을 닦으며 붉은 립스틱을 바르던 아키코를 비추던 카메라가 암시하듯 오히려 촉촉하고 애틋하다. 따지고 보면 모순과 갈등을 동력으로 버티는 도시가 어디 도쿄뿐이겠는가. 사람 사는 곳은 다 마찬가지다.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