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난 사람 기억하다 만난 사랑

오는 27일 개봉하는 ‘사랑과 음악 사이’는 ‘원스’, ‘비긴 어게인’ 등 하나의 흐름을 만들어 가고 있는 음악 로맨스 영화들과 궤를 같이하는 작품이다. 그런데 영화 속에 뮤지션은 등장하지 않는다. 이미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그가 남긴 음악이 영화를 영롱하게 수놓고, 그를 떠나보낸 사람들이 만나 새로운 사랑을 만들어 간다. 영화는 음악보다는 로맨스에 조금 더 무게를 싣고 있다.

미국에서 손꼽히는 촌동네 메인주가 배경이다. 해나(레베카 홀)는 천재 뮤지션이었던 남편 헌터가 세상을 떠난 뒤 홀로 살아간다. 남편에 대한 그리움에 갇혀 새로운 삶을 향해 한 걸음도 내딛지 못하던 해나에게 한 도시 남자가 찾아온다. 천재 뮤지션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를 좇아온 작가이자 교수 앤드루(제이슨 서디키스)다. 이들은 우여곡절 끝에 함께 헌터에 대한 전기를 써 내려가며 그에 대한 기억을 공유한다. 이 과정에서 두 사람은 새로운 사랑을 마주하게 된다.

요절한 천재 뮤지션 헌터 캐릭터는 1990년대를 대표하는 싱어송라이터인 제프 버클리와 엘리엇 스미스로부터 영감을 얻었다. 둘 모두 한국의 음악인들에게도 영감을 줄 정도로 재능이 있었으나 그 재능을 활짝 꽃피우지 못하고 서른 초중반의 나이에 세상을 등졌다. 원래 영화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음악을 맡아 줄 적임자를 찾아 헌터 캐릭터를 구체화하려고 했으나 후반 작업에 들어서야 인디 계열의 싱어송라이터 데이미언 주라도와 인연을 맺게 됐다. 처연하게 내면의 고통을 읊조리는 뮤지션으로 알려졌다. 주라도는 촬영된 필름에서 영감을 얻어 ‘온 더 랜드 블루스’ 등 감성적인 포크를 만들어 영화의 분위기를 한껏 살렸다.

우리에겐 ‘아이언맨3’, ‘트랜센던스’ 등으로 얼굴을 알리고 있는 레베카 홀과 ‘새터데이나이트라이브‘(SNL) 출신 제이슨 서디키스의 앙상블이 나쁘지 않다. ‘사랑과 음악 사이’는 번안 제목이다. 원래 제목은 ‘텀블다운’으로 실제 메인주에 있는 산 이름이다. 이 작품으로 장편 데뷔를 한 숀 뮤쇼 감독이 자주 오르내리던 곳이라고 한다. 영화의 시나리오는 그의 아내가 썼다. 15세 이상 관람가.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