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정’ 김지운 감독이 차가운 누아르 장르에서 점차 뜨거워지는 영화가 만들어졌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25일 오후 서울 왕십리 CGV에서 진행된 영화 ‘밀정’ 언론시사회에는 김지운 감독과 배우 송강호, 공유, 한지민, 엄태구, 신성록 등이 참석했다.

이날 ‘밀정’의 김지운 감독은 ‘밀정’을 통해 전하고자 했던 것에 대해 “처음에는 콜드 누아르를 한국에서 만들어보겠다는 생각으로 장르적으로 규정하고 설정, 스파이 영화를 만들었다. 서구의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한 스파이 영화들이 많은데, 이런 영화들을 레퍼런스로 해서 콜드누아르라는 명칭을 썼다. 차갑게 스파이 영화를 만들려고 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김지운 감독은 “그런데 만들다보니까 영화가 점점 뜨거워지더라. 인물도 점점 뜨거워졌다. 그래서 잠시 혼란이 왔다. 놓쳤던 것이, 서구 냉전시대의 걸작 영화들이 담았던 시대적 배경과 일제강점기 역사적 배경은 판이하게 시대가 달랐다”라고 밝혔다.

또 김지운 감독은 “일제강점기는 국권 회복과 잃었던 것들을 되찾기 위한 선인들의 꽃다운 나이에 목숨을 던지는 이야기여서, 점점 뜨거워질 수밖에 없는 영화더라. 영화가 차갑게 시작해서 뜨겁게 끝나고 결국 벼랑 끝에서 희망을 얘기하는 것 같다”며 “이번 영화는 인물이 어디로 가는지 냉철하게 쫓아간 첫 번째 영화라고 생각한다. 내 자의식은 내려놓고 인물들, 영화가 어디로 가는지 쫓아가는 영화였다”고 설명했다.

극 중 일본 경찰 ‘이정출’을 연기한 송강호는 “‘밀정’의 독창성은 아픈 시대를 살아갔던 이들의 인간적인 고뇌에 초점을 맞추려 한 것”이라며 “누가 밀정인지 탐구하는 영화라기보다는 누구나 밀정이 될 수밖에 없던 시대를 이야기하고 있다”고 영화에 대한 자기 생각을 밝혔다.

김지운 감독도 “나라가 비정상적 상태에 빠졌을 때 개인의 존립이 흔들릴 수밖에 없는, 밀정이 될 수밖에 없는 질곡을 담으려 했다. 밀정은 혼란한 시대의 상징 같은 것으로 누구나 밀정이 될 수밖에 없는 시대를 이야기하려 했다”며 송강호의 의견에 공감을 나타냈다.

‘밀정’에서 의열단의 새 리더 ‘김우진’을 연기한 공유는 “살기가 바쁘다 보니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생각하지 못했던 것이 많은 것 같다”며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연기로나마 1920년대 혼돈의 시대에 들어갔다가 나온 것이 배우로서 뜻깊었다”고 밝혔다.

의열단 단원이면서 고문까지 받는 ‘연계순’ 역을 맡은 한지민은 “연기의 기술적 측면을 생각하기보다는 독립운동을 하셨던 분들의 신념 하나만 잊지 않고 연기해야겠다는 생각으로 촬영에 임했다”며 “촬영 중에 가슴 뭉클한 감정이 전해지기도 했다”고 말했다.

김지운 감독 역시 “죽음 앞에서 초연했던 선열들의 위엄과 기개를 영화에 반영하려 했다”며 “영화를 통해 우리 역사를 전면적으로 진중한 마음으로 들여다본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밀정’은 1920년대 말, 일제의 주요시설을 파괴하기 위해 상해에서 경성으로 폭탄을 들여오려는 의열단과 이를 쫓는 일본 경찰 사이의 숨막히는 암투와 회유, 교란 작전을 그린 작품. 9월 7일 개봉 예정이다.

사진=연합뉴스

연예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