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릭 “식량가격 2008년 대란 수준”

졸릭 “식량가격 2008년 대란 수준”

입력 2011-02-17 00:00
업데이트 2011-02-17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 세계 식량 위기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세계은행이 “식량 가격 상승이 위험 수준”이라고 경고했다.

●“4400만명 빈곤상태”

로버트 졸릭 세계은행 총재는 15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지난해 6월 이후 식량 가격이 (식량 대란이 일어났던) 2008년 수준으로 높아지면서 4400만명이 빈곤 상태에 빠졌다.”면서 “이로 인해 10여개 국가에서 식량위기가 소요사태로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졸릭 총재는 “식량 가격 상승은 이미 수백만명을 가난으로 몰아넣었다.”면서 “수입의 절반 이상을 식료품 구입에 사용하고 있는 취약 계층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17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에서 식량 위기 문제를 최우선 논의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은행이 이날 내놓은 2월 식량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월 식량가격지수는 지난해 10월 대비 15% 상승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29% 가까이 올라 2008년 6월 최고치와 비교해 3% 낮은 수준이다. 앞서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지난달 식량가격지수는 230.7로 역대 최고치였던 2008년 6월의 224.1을 상회한 바 있다.

이 같은 식량 가격 상승은 설탕과 식용 기름, 밀, 옥수수의 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라고 세계은행은 설명했다. 특히 밀의 경우 상승폭이 가장 커 지난해 6월부터 지난달까지 거의 2배 이상 올랐으며, 옥수수 가격은 73% 치솟았다.

전 세계적인 밀 가격 상승으로 많은 나라에서 밀 가격이 급등했다. 지난해 6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카자흐스탄의 밀 가격은 54%, 방글라데시는 45% 올랐다. 타지키스탄과 몽골·스리랑카에서도 30% 이상 높아졌다.

●“그래도 아프리카 경작사정 좋아”

세계은행은 최근 식량 가격 상승으로 하루 1.25달러 이하로 생활하는 극빈곤층이 6800만명가량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해당 계층이 늘어난 나라로는 타지키스탄, 파키스탄 등이 있다. 대신 2400만명의 농업 종사자는 이 같은 분류에서 벗어나면서 베트남의 극빈곤층 비율은 줄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세계은행은 두 가지 요인에 의해 2008년 식량 위기 때보다는 나은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많은 아프리카 국가에서 경작 사정이 좋아 가격이 안정돼 있고 쌀 가격 상승은 완만한 데다 곧 안정을 찾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국가별 소비 형태에 따라 가격이 오른 식품도 달랐다. 중국에서는 채소 가격 상승이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이었으며, 부르나이와 카메룬·케냐·우간다에서는 콩 가격이 22~48% 올랐다.

구제역이 발생한 몽골의 경우 육류 가격이 크게 뛰어 지난해 양고기 가격이 전년 대비 32% 상승했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1-02-17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