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DNA 확보를”… IT 특허 전쟁

“스마트폰 DNA 확보를”… IT 특허 전쟁

입력 2011-08-02 00:00
업데이트 2011-08-02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로열티 비용절감·경쟁사 압박노려

‘스마트폰 DNA를 확보하라.’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들의 ‘스마트폰 특허권 쟁탈전’이 점입가경이다.

원천 기술을 확보하려면 막대한 자금을 쏟아부어야 하지만 스마트폰 시장의 폭발적 성장세를 감안하면 로열티 등을 통해 장기적으로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게 IT기업들의 판단이라고 뉴욕타임스가 1일 보도했다.

스마트폰 시장의 ‘특허 대전’은 지난 6월 캐나다 통신업체 노텔의 특허권 6000건이 경매시장에 나오면서 본격적으로 불붙었다. 당시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 리서치인모션(RIM) 등은 컨소시엄을 구성해 45억 달러(약 4조 7000억원)에 특허권을 인수했다.

‘안드로이드 군단’(안드로이드폰 제조사들)을 이끄는 구글도 패권 전쟁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 IT기업 IBM으로부터 1000여건의 특허를 사들였다.

특허권을 끌어모으려는 수요가 폭증하면서 스마트폰 기술을 비싼 값에 팔려고 나서는 기업들도 늘고 있다. 노텔보다 50%가량 더 많은 특허를 보유한 무선 기술 업체 ‘인터디지털’은 스스로를 경매시장에 내놓았고 세계적인 기업 사냥꾼 칼 아이칸(75)은 자신이 주요 주주인 모토롤라에 “무선 관련 특허를 팔라.”고 압박하고 있다.

IT업체들은 특허권 확보를 통해 자신의 특허 사용료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경쟁업체로부터 사용료를 거둬들여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예컨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와 관련한 특허권을 보유한 MS는 최근 삼성전자에 ‘스마트폰 한대당 15달러(약 1만 6000원)를 내놓으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스마트폰의 시장점유율을 늘려가는 삼성전자가 더 많은 스마트폰을 팔수록 MS는 가만히 앉아 배를 불릴 수 있는 셈이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1-08-02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