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지급준비율 0.5%P 인하

中 지급준비율 0.5%P 인하

입력 2012-02-20 00:00
업데이트 2012-02-20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개월 만에… 24일 시행

중국이 은행 지급준비율을 2개월 만에 다시 인하했다. 지난해 12월 5일 0.5% 포인트 내린 것을 포함해 3년 만에 이뤄지는 두 번째 인하로 경기 둔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 조치로 풀이된다. 하지만 통화팽창 압력이 여전해 통화 정책 기조가 완화로 돌아서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중국 중앙은행인 런민(人民)은행은 오는 24일부터 은행 지준율을 0.5% 포인트 인하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로써 대형 은행의 지준율은 21%에서 20.5%로, 중·소형 은행의 지준율은 17.5%에서 17%로 낮아진다. 이번 인하로 추가 공급되는 유동성은 4000억 위안(약 71조 5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은행 유동성 4000억 위안 추정

잉다(英大)증권 리다쉐(李大霄) 소장은 “이번 지준율 인하 조치는 중앙은행이 통화팽창을 잡기 위한 긴축정책을 끝내고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보장하기 위한 중도적 완화 노선으로 전환했음을 의미하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2~4차례 지준율 추가 인하 조치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물가상승률이 목표치인 4%대를 크게 웃돈 5.4%에 달하면서 ‘신중한 통화정책’ 기조하에 경제 운용의 최우선 목표를 인플레이션 억제에 뒀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중국의 주요 수출 시장인 유럽과 미국의 채무 위기가 심화되고 중국의 수출 증가율이 지난 1월 22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가 가시화되면서 긴축 완화 필요성이 대두됐다.

●정부 통화정책 전환 의지 실행

이에 따라 당국은 ‘신중한 통화정책’을 펴되 구체적 경제 상황에 따라 ‘선제적 미세조정’을 하겠다며 통화 정책 전환 의지를 수차례 내비쳐 왔다.

중국 당국이 최근 만기가 돌아오는 지방정부 대출에 대해 시중은행에 만기를 연장해줄 것을 지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앞서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는 지난 12일 기업 관계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올해 1월과 1분기 경제상황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는 만큼 1분기부터 미리 조금씩 선제 조정을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중앙경제업무회의에서도 “2012년에도 ‘신중한 통화정책’을 펴되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선제적 미세조정’을 하겠다.”며 통화 정책 전환 여지를 남겨 뒀다.

●금리인하 단기적 가능성 희박

이 밖에 6%대까지 치솟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3개월 연속 4%대를 기록하면서 안정세를 보인 것도 중국 정부에 지준율 인하를 위한 운신의 폭을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싱예(興業)은행 루정웨이(鲁政委) 수석연구원은 “지준율 인하는 최근 시장 유동성이 극도로 긴장한 가운데 금리까지 크게 오른 데 따른 조치로 향후 지준율 추가 인하 가능성이 높아진 건 사실”이라면서 “그러나 통화정책이 완화로 돌아선 것은 아니며 금리 인하의 가능성은 단기적으로 없다.”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2012-02-20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