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현진 특파원 베이징은 지금] 中 어느 기자의 자살

[주현진 특파원 베이징은 지금] 中 어느 기자의 자살

입력 2012-08-25 00:00
업데이트 2012-08-25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각하되 말 못하고, 말하되 쓸 수 없으며…

“기자는 한 마리의 개와 같다.”(言官如狗·언관여구)며 중국 언론인을 은유적으로 ‘충견’에 빗대 풍자했던 중국 공산당 기관지의 중견 기자가 최근 자살했다. 그는 지인들에게 ‘벽’에 가로막힌 중국의 언론환경을 토로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암울한 중국의 언론 현실이 새삼 도마에 오르고 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중견 기자 쉬화이첸(徐懷謙·44)이 베이징 자신의 아파트에서 투신자살한 것은 지난 22일 오후 1시. 인민일보는 24일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를 통해 그의 자살 소식을 전하면서 쉬화이첸이 최근 우울증 치료를 받아 왔다고 발표했다. 쉬화이첸은 최근 중국 언론인의 현실을 개탄한 언관여구(言官如狗)란 제목의 글을 자신의 블로그에 게재해 큰 반향을 일으켰던 인물이다. 그의 자살이 중국의 억압적 언론체제와 무관치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언관여구’는 근대 중국의 군벌정치가 위안스카이(袁世凱)가 자신의 정치투쟁에 총대를 메 줄 언관을 물색한 데서 비롯된 말이다. 쉬화이첸은 해당 글에서 “언관들은 정치적 후각이 발달했고, 진실 대신 주인에게 충성하는 특성을 지녔는데 그들이 살던 전제주의 제국시대는 막을 내렸지만 그들의 계승자들이 아직 얼마나 많이 남아 있는지 모르겠다.”며 공산당과 정부의 나팔수 역할을 해야 하는 관영언론 기자들의 현실을 개탄했다.

그는 지인들에게도 비슷한 말을 남겼다. 보하이(渤海)대 중국문화·문학연구소 장훙제(張宏杰) 부소장은 쉬화이첸이 생전에 자신에게 “생각하되 말하지 못하고, 말하되 쓸 수 없으며, 쓰되 게재할 곳이 없다. 그럼에도 ‘체제’를 벗어날 수 없다. 굶어 죽기 때문이다.”라는 내용의 신세한탄을 했다고 자신의 웨이보를 통해 전했다.

이날 웨이보에는 그의 자살과 관련된 글이 15만건을 넘어섰다. 중국 언론인 직업 준칙에는 ‘당의 노선을 선전하고 당과 정치적 의견을 일치시키며 당의 결정에 반하는 보도는 금지한다.’고 규정돼 있다.

jhj@seoul.co.kr

2012-08-25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