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국유화 맞불 → 무력 대치 가능성”

“中, 국유화 맞불 → 무력 대치 가능성”

입력 2012-09-13 00:00
업데이트 2012-09-13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日 전문가 센카쿠사태 전망

일본의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국유화 조치로 촉발된 중국과 일본 간의 갈등이 무력 충돌 위기 등 최고조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중국 역시 국유화 선언으로 ‘맞불’을 놓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중국이 국유화 조치로 맞서면서 양국 간 2차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중국의 중·일 관계 전문가가 전망했다.

칭화(淸華)대 전략 및 공공외교센터 자오커진(趙可) 교수는 12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중국이 국유화 조치를 취하게 되는 과정에서 일본이 댜오위다오에 자위대를 배치할 경우 중국도 인민해방군을 파견해 댜오위다오 일대에서 군사훈련을 실시하게 될 것”이라면서 “양국 간 2차 충돌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중국과 일본의 전문가들은 양국 간 물리적 충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태라고 입을 모았다. 하지만 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내다봤다.

중국인민대 국제관계학원 황다후이(黃大慧) 교수는 “중국이 권력 교체를 앞두고 내부 사정이 복잡한 시점을 틈타 일본이 국유화라는 최후의 카드마저 꺼내들면서 양국 관계는 이미 통제 불가 상태로 접어들기 직전의 임계점에 도달했다.”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황 교수는 또 “일본이 국유화 조치를 철회하지 않으면 전날 파견한 두 척의 중국 해양감시선이 댜오위다오 12해리 이내로 들어갈 수 있고 이 경우 양국 간 물리적 충돌이 불가피하다.”면서 “향후 사태의 추이는 전적으로 일본에 달려 있다.”고 경고했다.

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 왕이저우(王逸舟) 부원장은 “중국은 일본이 손을 들 때까지 다양한 반격 조치를 강구할 것”이라면서 “댜오위다오 영해기선 선언, 어정선 파견, 해양 예보 실시 등 외에 각종 경제 보복 조치로 일본을 억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재일 중국인 외교 전문가인 주젠룽(朱建榮) 일본 도요가쿠엔대학 부교수는 중국 정부의 향후 조치에 대해 “센카쿠열도 국유화보다 그 후에 이어질 일본 정부의 조치에 주목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주 교수는 “중국이 실제로 주시하는 건 일본의 노다 요시히코 내각이나 차기 정권이 국유화 이후 섬에 등대를 설치하는 등 ‘실질적인 행동’을 하는지 여부”라며 “일본이 ‘실질적인 행동’을 취하면 중국도 ‘실제적인 대항 조치’를 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센카쿠열도 문제가 지나치게 부각되면 중국과 타이완이 안보적으로도 가까워질 수 있어 미·일 안보 동맹까지 흔들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베이징 주현진·도쿄 이종락특파원

jhj@seoul.co.kr

2012-09-13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