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14,000 회복…최고점 바짝 추격

다우 14,000 회복…최고점 바짝 추격

입력 2013-02-13 00:00
업데이트 2013-02-13 08: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2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는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가 상승세를 타면서 14,000 고지를 재탈환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47.46포인트(0.34%) 상승한 14,018.70,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2.42포인트(0.16%) 오른 1,519.43에서 장을 마감했다.

이로써 다우지수(마감 기준)는 2007년 10월 9일의 사상 최고점(14,164.53)을 1%의 근소한 차이로 따라붙게 됐다.

다우지수는 올들어 7% 이상 오른 상태다.

이날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날보다 5.51포인트(0.17%) 하락한 3,186.49에서 종료됐다.

업종별로는 뱅크오브아메리카를 비롯한 금융주가 올랐고 기술주가 약세였다.

코카콜라는 기대에 못 미치는 실적으로 하락세를 보였고 애플도 2% 가까이 떨어졌다.

특별한 재료가 없는 가운데 시장은 미국 동부 시간으로 이날 오후 9시로 예정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국정연설에 어떤 내용이 담길지 주목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연설에서 미국 정부의 예산 자동 감축, 이른바 시퀘스터(sequester)에 대해 언급할 것으로 보인다.

이 제도는 누적되는 재정 적자를 줄이려 다음 회계연도에 허용된 최대한의 적자 규모 내로 적자의 폭을 줄이지 못하면 지출 예산을 애초 설정된 목표에 따라 자동으로 삭감하는 것이다.

백악관과 의회는 재정절벽 협상을 통해 애초 새해 1월 1일로 예정됐던 시퀘스터 발동 시기를 3월 1일로 미뤘다.

시한이 불과 보름여 남았지만 미국 정치권은 여전히 이를 회피하기 위한 협상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 경제에 미칠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동 시기를 몇 달 늦추자고 제안한 상태지만 공화당 일각에서는 시퀘스터가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내놓는다.

그러나 시장 분위기는 그리 비관적이지 않다. 재정절벽과 마찬가지로 시퀘스트 협상에서도 타협점이 모색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우세하다.

지난달 미국 소기업의 경기기대지수는 전월보다 약간 높은 88.9를 기록했다.

세금 인상과 정부 지출 감소 우려에도 앞으로 6개월간 경제가 나아질 것으로 보는 자영업자가 많다는 의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