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수명, 소변 속에 있다”

“나의 수명, 소변 속에 있다”

입력 2013-03-23 00:00
업데이트 2013-03-23 11: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간단한 소변검사로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기대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캘거리 대학의 탄비르 투린 박사는 소변에 섞여 나오는 단백질인 요단백 수치가 얼마나 오래 살 수 있는지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연구논문을 발표했다고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22일 보도했다.

투린 박사는 남녀 81만명(30~85세)의 소변검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요단백 수치가 높은 사람일수록 낮은 사람에 비해 기대수명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요단백이 없는 사람은 있는 사람에 비해 남성은 평균 8.2년, 여성은 10.5년 더 사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요단백 수치가 전반적인 웰빙과 기대수명의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투린 박사는 지적했다.

대부분의 단백질은 입자가 크기 때문에 우리 몸의 필터인 신장에서 걸러져 소변으로 방출되지 않고 몸속으로 되돌려 보내진다.

그러나 신장의 이러한 여과기능이 손상되면 생존에 필요한 단백질이 누출돼 소변에 섞여 나온다.

따라서 신장기능이 정상인 사람은 소변에 섞여 나오는 단백질이 거의 없는 반면 신장기능에 문제가 있는 사람은 요단백이 많아지게 된다.

만성 신부전이 사망위험을 포함, 건강에 갖가지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요단백이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진 것은 처음이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신장재단의 학술지 ‘신장질환 저널’(Journal of Kidney Diseases) 최신호에 실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