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계 미국인, 투표 장애 겪고 있다”

“한국계 미국인, 투표 장애 겪고 있다”

입력 2013-03-29 00:00
업데이트 2013-03-29 1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11월 미국 대통령선거에 참여한 한국계 미국인 10명 가운데 1명은 영어를 못하는 까닭에 투표를 위해선 번역된 자료가 필요했지만 찾을 수 없었다고 토로했다.

이는 인권단체 ‘아시아계 미국인 법적 보호와 교육 펀드’(AALDEF)가 한국계 미국인 유권자 998명을 대상으로 벌여 28일(현지시간) 공개한 설문조사에서 나타났다.

”영어를 잘한다”고 답한 한국계 미국인 유권자들은 33%에 그쳤다. 이 비율은 아시아계 미국인 가운데 가장 낮은 것이다.

응답자의 23%는 선거 당시 번역된 안내문을 이용했다고 답한 반면 8%는 번역본이 필요했는데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또 응답자의 27%는 투표소에서 법적 의무사항이 아닌데도 국적을 공개해야 했다고 불만을 표했다.

미국 흑인들의 투표권을 회복시킨 투표권법(Voting Rights Act)은 영어를 못하는 미국 시민에게 ‘투표 지원’(voting assistance)을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글렌 맥판타이 AALLDEF 소장은 워싱턴D.C의 한 교외 투표소에서는 선거관리 직원들이 한국계 미국인들을 따로 줄 세우게 한 뒤 영어로 국적을 큰 소리로 말하도록 해 불쾌감을 주기도 했다고 전했다.

그는 투표소에서 인정하는 신분증 종류를 제한한 공화당 주도의 버지니아주 새 법은 한국계 등 아시아계 미국인 유권자들의 투표권리를 침해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