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무기 사용’ 시리아사태 고비…군사행동엔 신중

’화학무기 사용’ 시리아사태 고비…군사행동엔 신중

입력 2013-04-26 00:00
업데이트 2013-04-26 1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내 ‘군사적 개입론’ 거세져…정책 변화 가능성

시리아가 내전 과정에서 화학무기를 사용했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시리아 사태가 중대 고비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25일(현지시간) 백악관과 외신 등에 따르면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정권은 반정부군과 교전을 벌이면서 2차례에 걸쳐 사린 가스 등의 화학 무기를 사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겔 로드리게스 백악관 상원 연락관은 이날 존 매케인(공화·애리조나), 칼 레빈(민주·미시간) 상원의원에게 보낸 서한에서 “우리 정보기관들은 시리아 정권이 소규모의 화학무기를 사용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리아의 화학 무기는 오래전부터 국제사회의 핵심 이슈였다.

특히 시리아 내에서 반정부 시위가 격화하면서 시리아 정부가 화학무기를 사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끊이지 않았다.

실제로 시리아가 화학 무기를 이동하는 장면이 포착되기도 했고, 시리아 정부가 민간인을 상대로 화학무기를 사용했다는 증언도 잇따랐다.

미국 정부 역시 “시리아가 생화학 무기를 사용한다면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고 강력하게 경고해왔다.

또 유엔 총회는 알 아사드 시리아 정권을 강하게 규탄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압도적인 표차로 채택했고, 영국과 프랑스, 러시아 등 강대국도 이를 지지해왔다.

미국 정부는 국제사회로부터 시리아 사태 해결에 미온적이라는 비판을 받으면서도 시리아의 화학무기 사용을 입증할 만한 ‘물증’을 찾지 못해 강력한 조치를 취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이번에 시리아 정부가 화학무기를 사용했다는 점이 ‘사실상 확인’되면서, 미국의 시리아 정책은 일대 전환이 불가피하게 됐다.

무엇보다 미국이 시리아를 상대로 군사적 행동을 취해야 한다는 강경 목소리가 힘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오바마 정부는 알 아사드 정권이 화학무기를 사용하면 즉각 군사적인 개입을 하겠다며 분명한 금지선을 그어 놓았었다.

정치권에서는 바로 반응이 나왔다.

존 매케인 상원의원은 “시리아가 금지선을 넘었다는 것이 명백해졌다”며 군사 행동을 촉구했다.

민주당 중진으로 정보위원장인 다이앤 파인스타인(캘리포니아) 상원의원 역시 “시리아 정부가 더 많은 양의 화학 무기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새로운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미국이 취할 수 있는 군사 행동으로는 ▲비행금지구역 설정 ▲시리아 국민 보호구역 설정 ▲무인기나 전투기를 이용한 폭격 ▲지상군 투입을 통한 화학무기 저장시설 확보 등이 거론된다.

그러나 미국이 즉각적인 군사 행동에 나서기보다는 당분간 사태를 관망하며, 더욱 확실한 증거 수집에 치중할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로드리게스 백악관 상원 연락관은 서한에서 “어떤 행동에 나서기에 앞서 미국 정부는 더욱 확실한 증거를 찾고 있다”며 다소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미국 정부 고위 관계자는 또 “백악관이 보낸 서한이 자동적인 군사 행동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AP통신은 이에 대해 사담 후세인 정권이 대량 학살 무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오판해 즉각적인 군사행동에 나선 부시 행정부의 결정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고 분석했다.

시리아는 지난 1970년대부터 화학무기를 개발해 왔으며 다마스쿠스 북부, 중부 홈스 등 8곳 등지에서 사린·겨자가스 및 신경성 맹독가스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화학무기금지협약(CWC)에 가입하지 않아 정확한 보유량은 확인되지 않고 있으나 전 세계에서 화학무기를 가장 많이 보유하는 것으로도 전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