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인 포커스] 美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니얼 러셀 지명

[피플 인 포커스] 美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니얼 러셀 지명

입력 2013-05-17 00:00
업데이트 2013-05-17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북 신중파… 제네바 합의 중요역할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에 대니얼 러셀(60)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을 지명했다.

직업 외교관 출신의 러셀은 제1차 북핵위기가 전개된 1992~1995년 주한 미국 대사관에서 근무하면서 1994년 10월 북·미 제네바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등 한반도 문제에 비교적 정통한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교가에서는 국무부 내 대표적 ‘일본통’으로 분류된다. 일본과의 인연이 훨씬 더 두텁기 때문이다. 뉴욕 사라로런스대학과 영국 런던대학을 졸업한 뒤 뉴욕의 다국적기업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한 러셀은 1985년 직업 외교관으로 변신하자마자 일본 도쿄에서 주일 미국대사 보좌관으로 3년간 일했고 이후 오사카, 나고야 등에서 일본 전문가로서 경험과 인맥을 쌓았다.

이어 2005~2008년 오사카와 고베 주재 미국 총영사를 역임한 뒤 2008년 국무부 일본과장을 맡았다. 부인이 일본계이고, 미국 외교관 가운데 일본어를 가장 잘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반면 중국에서 근무한 경력은 없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러셀이 한·일 간 갈등이 불거질 때 아무래도 일본에 우호적 입장을 취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커트 캠벨 전 동아태 차관보가 지난 2월 퇴임한 이후 후임 차관보 지명이 늦어진 것은 오바마 대통령과 존 케리 국무장관의 이견 때문으로 알려진다. 오바마 대통령은 측근인 러셀을 지명하길 바란 반면 케리 장관은 백악관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 영역을 구축하고 싶은 마음에 다른 인물을 수소문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임명권자인 오바마 대통령의 의지를 꺾을 만한 ‘대안’이 물색되지 않음에 따라 러셀로 ‘낙착’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오바마 행정부 1기 때 ‘전략적 인내’(북한의 태도 변화 없이는 대화 없다) 정책을 주도한 러셀과 미국 내 대표적 대화파로 분류되는 케리 장관이 향후 대북 정책과 관련, 어떤 ‘화음’을 맞출지가 관심이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05-17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