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가정주부 40%가 생계 책임져”<퓨리서치>

“美 가정주부 40%가 생계 책임져”<퓨리서치>

입력 2013-05-29 00:00
업데이트 2013-05-29 16: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편보다 수입많은 아내 15%로 증가

18세 이하 자녀를 둔 미국의 가정 가운데 약 40%는 여성이 생계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포스트(WP)는 29일 미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 보고서를 인용해 생계를 책임지는 여성이 늘어나는 추세는 최근 경기침체와 ‘싱글맘’의 출산 증가로 가속화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 수십년 사이에 미국인의 전통적 남녀 역할과 가정생활에 엄청난 변화가 있었다.

남편보다 수입이 많은 아내의 숫자가 1960년 4%에서 2011년에는 15%로 4배 가까이 늘었고 같은 기간 혼자서 가족을 부양해야 하는 ‘싱글맘’ 비율은 7%에서 25%로 세배 이상 증가했다.

메릴랜드대학 필립 코헨 사회학 교수는 “2000~2010년 남편보다 수입이 많은 주부의 비율이 1960년 이후 어느때 10년간 보다 가장 빠르게 늘어났다”면서 “이는 금융위기 초반 남편이 실직하거나 임금이 줄어들자 일부 주부들이 일을 더많이 하거나 수입이 좋은 직업을 찾아나선 것을 반영해준다”고 말했다.

미국인들은 결혼한 여성이 직장을 갖는 것에 대해 엇갈린 입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의 4분의 3은 기혼 여성이 직장을 갖는 것은 아이 양육을 어렵게 하고 결혼생활에도 좋지 않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약 절반은 엄마가 어린 자녀와 함께 가정을 지키는 것이 더 좋다고 밝힌데 비해 아빠가 그러는 것이 더 좋다는 응답은 8%에 불과했다.

퓨리서치 보고서는 그러나 다른 여론조사 결과 미국인의 약 80%는 기혼 여성이 1950년대의 전통적인 중산층 가정주부 역할로 되돌아가는데는 찬성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한 남편보다 아내가 고학력인 비율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면서 맞벌이 부부의 61%는 학력 수준이 비슷하며 아내보다 남편이 고학력인 비율은 16%인 반면 아내의 학력이 더 높은 비율은 23%라고 밝혔다.

WP는 1985년 대학을 졸업한 여성이 남성보다 많아지기 시작했으며 현재 여러 분야에서 여성이 더많은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있다고 전했다.

여성이 남성보다 수입이 많은 것을 수치스럽게 여기는 시각도 최소한 대졸자 사이에서는 줄어들고 있다.

남편이 수입이 더 많은 것이 좋다는 응답은 1997년의 40%에서 30%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고졸 이하 학력자들은 남편의 수입이 더 많아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대졸자들에 비해 2배나 많았다고 WP는 보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