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마취 수술 노인, 치매 위험↑”

“전신마취 수술 노인, 치매 위험↑”

입력 2013-06-03 00:00
업데이트 2013-06-03 09: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신마취 수술을 받은 노인은 나중 치매 위험이 커진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프랑스 보르도 대학의 프랑수아 스타르크 박사가 65세 이상 노인 7천600여명을 대상으로 10년에 걸쳐 진행한 추적조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영국의 텔레그래프 인터넷판이 1일 보도했다.

조사기간 중 치매가 발생한 노인(632명)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지난 10년 사이에 전신마취 수술을 받았을 가능성이 3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스타르크 박사는 밝혔다.

치매 환자는 대부분 알츠하이머 치매였다.

큰 수술을 받은 노인은 흔히 수술후 인지장애(POCD: post-operative cognitive dysfunction)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나중 치매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마취제는 신경조직에 염증을 일으켜 치매와 연관된 독성 단백질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노인반)의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과학자들은 믿고 있다.

마취제는 세포가 스스로 죽는 세포사멸(apoptosis)과 단백질 아밀로이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카파제라는 효소를 활성화시킨다는 연구논문이 2007년 미국에서 발표된 일이 있다.

이 결과는 노인이 전신마취 수술을 받을 경우 POCD가 나타나는지를 주의 깊게 살피면서 장기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스타르크 박사는 강조했다.

이에 대해 영국알츠하이머병학회의 더그 브라운 박사는 전신마취 수술 후 치매 위험이 커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도 의문이 많으며 그 어떤 다른 요인이 작용하는지도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논평했다.

이 연구결과는 스페인의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유럽마취학회(European Society of Anaesthesiology) 연례회의에서 발표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