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정상회담 D-2… 북핵 문제 등 양국 전문가 전망] “국제문제 등 서로 돕는 ‘신형 대국관계’ 기대”

[美·中 정상회담 D-2… 북핵 문제 등 양국 전문가 전망] “국제문제 등 서로 돕는 ‘신형 대국관계’ 기대”

입력 2013-06-06 00:00
업데이트 2013-06-06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오커진 中 칭화대 국제연구소 부소장

“이번 중·미 정상회담은 중국과 미국의 지도자가 개인적인 친분을 쌓게 될 세기적 이벤트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헨리 키신저와 같은 중국의 오랜 친구가 되길 기대한다.”

이미지 확대
자오커진 中 칭화대 국제연구소 부소장
자오커진 中 칭화대 국제연구소 부소장
중국 칭화(淸華)대 국제문제연구소 자오커진(趙可) 부소장은 5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회담에 이 같은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번 회담이 추진된 배경은.

-미국이 먼저 회담을 요청한 것으로 안다. 그러나 중·미 지도자 모두 양국 간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국제 및 지역의 주요 이슈들을 함께 풀어 보려는 의지가 맞아떨어져 회담이 개최되는 것이다. 핵심은 양측 모두 새 관계의 틀을 구축하려는 의지가 있고, 이에 앞서 양 지도자가 개인적인 친분을 쌓고 싶어 한다는 것이다. 지금은 불신이 깊다.

→중국이 지향하는 중·미 간 새 관계란.

-서로 도와주는 관계다. 일명 ‘신형 대국관계’라고 부른다. 미국은 북한, 이란, 시리아 등 국제 및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국의 도움을 바라고 있으며, 중국은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열도) 등의 분쟁에서 미국이 도와주기를 바란다. 서로 윈윈하자는 것이다.

→회담의 주요 이슈와 예상되는 결과는.

-사이버 해킹, 북핵, 댜오위다오 등이 주요 의제로 꼽히지만 이번에는 함께 밥을 먹고 조깅하면서 일단 개인적인 친분을 쌓으려는 의지가 더 크다. 두 사람이 친구가 되더라도 당장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결론을 내기는 어렵다. 댜오위다오 문제는 시진핑 주석이 회담에서 오바마 대통령에게 이야기를 꺼낼 수 있지만, 사실 문제만 놓고 보면 20년이 지나도 해결될 일이 아니다. 천천히 상처를 봉합하는 방법 말고는 도리가 없다. 다만 북한 문제에서 양측이 ‘한반도 비핵화’라는 기본 태도를 확인할 가능성은 높다.

→미국 방문에 앞서 미국의 뒷마당 격인 중미를 찾은 것은 ‘중국 봉쇄’에 대한 대응인가.

-중남미 국가 가운데 대표적인 중국의 친구는 반미 국가인 쿠바와 베네수엘라다. 이번 순방에서 행여 미국에 잘못된 신호를 보낼 수 있어 두 곳은 가지 않았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3-06-06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