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BㆍBOE 총재도 시장 달래기 적극 가세

ECBㆍBOE 총재도 시장 달래기 적극 가세

입력 2013-06-26 00:00
업데이트 2013-06-26 08: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의 출구 전략 ‘시간표’ 제시에 시장이 크게 흔들리자 유럽중앙은행(ECB)과 뱅크 오브 잉글랜드(BOE) 총재들이 25일(이하 현지시간) “부정 출발(jump the gun)하지 말라”며 시장 달래기에 적극 가세했다.

장-클로드 트리셰 ECB 전 총재도 “중앙은행이 출구 전략 실행 시 시장에 휘둘리지 말라”고 국제결제은행(BIS)이 전날 밝힌 데 대해 “양적완화가 마냥 이어지지 않을 것임을 상기시킨 것뿐”이라고 25일 강조했다.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는 이날 베를린 회동에서 “인플레가 진정되는 상황에서 (유로 지역의) 전반적인 경제 전망이 (어두워) 여전히 완화 기조가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드라기는 따라서 ECB의 “출구 전략 실행은 멀다”고 강조했다.

그는 ECB의 국채 매입 프로그램(OMT)이 유로 위기 진정에 이바지했으며 여전히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ECB는 지난해 OMT를 재가동했으나 정작 채권을 사들이지 않는 ‘구두 개입’ 효과만 내왔다.

ECB의 베누아 퀘르 집행이사도 이날 런던에서 ECB가 “필요한 만큼 역내 성장을 지원할 것”이라면서 “쓸 수 있는 다른 여러 수단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달 말로 퇴임하는 머빈 킹 BOE 총재도 25일 시장이 과잉 반응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날 BOE 총재 자격으로는 마지막으로 참석한 의회 회동에서 연준 발표에 “시장이 놀라 부정 출발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킹은 그러나 “연준이 ‘경기가 나아지면 돈을 거둬들일 것’이란 원칙론을 밝힌 것일 뿐”이라면서 “연준도 여전히 완화 기조를 유지하고 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킹의 뒤를 이어 BOE 총재에 취임하는 마크 카니 전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도 이날 “중앙은행이 어느 시점이 되면 정상적인 통화 기조로 되돌아가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시장 관계자들은 ECB와 BOE가 연준처럼 움직이지 않는 한 일본은행도 지금의 공격적인 기조를 유지하리라 전망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의 모리츠 크래머는 로이터에 연준 때문에 시장이 흔들리기는 했으나 아직은 추이가 심각하게 바뀌는 국면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해 여름 촉발됐던 것과 같은 ‘위험 지대’에서는 여전히 멀리 떨어져 있다는 판단”이라면서 “여러 나라가 미리 차입했기 때문에 즉각 위협받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중앙은행의 소통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도 거듭 나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올리비어 블랑샤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출구 전략은 근본적으로 어려운 것이 아니다”면서 “문제는 소통”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소통이 잘 안 되기 때문에 시장이 동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파이낸셜타임스(FT)는 26일 자 기명 기고에서 “ECB보다는 연준에게 잠 못 이루는 밤”이라고 표현했다.

샤피로 사버린 스트래트지의 니컬러스 샤피로 대표는 기고에서 “연준이 게임 체인징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시장 신뢰가 흔들린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연준은 실제로 채권을 대거 사들였지만 ECB는 구두 개입만 해온 차이가 있다면서 따라서 “ECB보다는 연준에게 잠 못 이루는 밤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