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機 美서 사고] 中 비상체제 가동… 시진핑, 치료·안정 만전 지시

[아시아나機 美서 사고] 中 비상체제 가동… 시진핑, 치료·안정 만전 지시

입력 2013-07-08 00:00
업데이트 2013-07-08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관련국 반응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착륙 사고를 낸 아시아나항공 OZ214편의 탑승객 대다수가 중국인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중국 당국과 언론이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중국 당국은 즉각 비상 체제를 가동하고 총력 대응에 나섰다. 중국 외교부는 7일 오전 성명을 내고 아시아나 항공기 추락 사고를 당 중앙 및 국무원 지도자들이 매우 중시하고 있다고 밝힌 뒤 외교부가 긴급 비상 체제를 가동했다고 전했다.

외교부의 친강(秦剛) 대변인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인명 피해가 발생한 데 깊은 관심을 표시했으며 외교부와 중국 대사관, 샌프란시스코 주재 중국 총영사관, 주한 중국대사관에 부상을 입은 중국 국민을 치료하고, 무사한 다른 중국 국민이 안정을 찾도록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고 전했다. 시 주석은 또 한국 정부와 연락을 유지하면서 중국민의 사후대책 문제 등을 적절히 처리하라고 당부했다. 중국 언론들은 탑승객 가운데 안전이 확인된 승객들의 명단을 실시간으로 전하거나 사고기에 탔던 생존자들과의 인터뷰를 내보내는 등 관련 소식을 집중 보도했다. 사고기에 단체 탑승했던 저장(浙江)성 장산(江山)중학교 학생들은 연락이 끊긴 2명의 이름을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 공개해 실종자 찾기에 주력하는 모습도 보였다.

자국민 3명이 사고 항공기에 탑승한 인도의 현지 매체 ‘인디아 투데이’ ‘원인디아뉴스’ 등도 사고 소식을 집중 보도했다. 매체들은 비슈누 프라카시 주한 인도 대사의 말을 인용해 “1명은 쇄골 골절상을 입었지만 나머지 2명은 경상”이라고 보도했다.

일본 언론도 일제히 아시아나 항공기 착륙 사고를 주요 뉴스로 전했다. NHK 등은 이날 내내 관련 속보를 비중 있게 다뤘다. NHK는 샌프란시스코 일본 총영사관 관계자의 말을 빌려 탑승자 중 일본인은 남성 1명이고 가벼운 부상에 그쳐 생명에는 지장이 없다고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김민희 기자 haru@seoul.co.kr

2013-07-08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