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라덴 사살 당시 무장상태였다”

“빈라덴 사살 당시 무장상태였다”

입력 2013-07-09 00:00
업데이트 2013-07-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제 테러조직 알카에다의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이 2011년 5월 2일 미국 해군특전단(네이비실) 요원들에게 사살될 당시 무장상태였다는 새로운 주장이 나왔다.

파키스탄 일간지 ‘돈’(DAWN) 인터넷판은 8일 빈 라덴 사살작전 과정을 조사한 파키스탄 정부 산하 ‘아보타바드 위원회’의 미공개 보고서를 봤다는 소식통 말을 빌려 이같이 보도했다.

신문은 “네이비실 요원들이 빈 라덴의 방에 갔을 때 그는 손에 무기를 쥔 채 선반에 있는 수류탄을 찾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전했다.

이런 상황은 지금까지 나온 주장들과는 다르다.

한 네이비실 요원은 지난 2월 남성잡지 에스콰이어와의 인터뷰에서 빈 라덴이 침실에 서 있었고 손을 뻗으면 닿을 만한 거리에 총이 있어서 자신이 직접 그의 이마에 총알 두 발을 쏴 죽였다고 밝혔다.

반면 사살작전에 참가한 다른 네이비실 요원은 다음달 CNN 인터뷰에서 이런 주장을 일축했다. 그는 요원들의 맨앞에 서는 척후병이 빈 라덴 은신처 건물의 꼭대기 층까지 난 계단을 뛰어 올라가고서 마침 침실문 바깥으로 고개를 내민 인물을 빈 라덴이라고 판단, 즉각 머리 부분을 사격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네이비실 요원 2명이 침실로 들어가 치명상을 입고 쓰러진 빈 라덴의 가슴에 총격을 가해 생명을 끝냈다는 것이다.

신문은 아보타바드 위원회 보고서가 많은 귀중한 정보를 담고 있다면서 빈 라덴 가족의 파키스탄내 은신과정도 소개했다.

신문에 따르면 2002년 알카에다 대원인 칼리드 빈 아타시를 체포함으로써 빈 라덴의 연락책인 아부 아흐마드 알 쿠웨이티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신문은 누가 아타시를 체포했는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알 쿠웨이티는 빈 라덴 가족이 2001년 10월 또는 11월 파키스탄 남부 항구도시 카라치로 이주했을 당시부터 함께 머물렀다.

빈 라덴 가족은 아타시가 체포된 이후인 2002년 중반 파키스탄 북서도시 페샤와르로 이주했다. 이후 빈라덴이 가족과 합류한다.

그러다가 빈 라덴 가족은 스와트로 거처를 옮겼다. 당시 빈 라덴의 오른팔 겸 9·11테러 주모자인 칼리드 셰이크 무함마드가 빈 라덴 가족을 방문했다.

그러나 무함마드가 2003년 3월 파키스탄 군사도시 라왈핀디에서 체포되자 겁먹은 빈 라덴은 가족과 함께 북서부 카이버 파크툰크와주(州) 하리푸르 타운으로 또 이동했다.

빈 라덴과 가족이 하리푸르 타운에 머물 동안 알 쿠웨이티는 아보타바드에 택지를 구입, 주택건설을 진행했다는 것이다. 이후 가족과 함께 아보타바드 주택으로 거처를 옮긴 빈 라덴은 네이비실 요원의 작전으로 사망했다.

신문은 아보타바드 위원회가 ‘제2의 5월 2일 (미군) 작전’을 피하고자 하는 파키스탄 정부에 조언을 했을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위원회는 또 파키스탄내 첩보망을 구축한 수많은 미국 정부 계약자의 비자발급 상황을 조사할 것을 파키스탄 정부에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위원회는 빈 라덴의 파키스탄내 은신과 관련해 누가 책임을 져야 할지를 규정했는지 여부는 불명확한 것으로 봤다고 신문은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