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 많이 먹은 쥐, 수명 단축·번식력 약화

설탕 많이 먹은 쥐, 수명 단축·번식력 약화

입력 2013-08-14 00:00
업데이트 2013-08-14 1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정부의 보건정책 자문기관인 미국의학원(Institute of Medicine)은 첨가당(added sugar)의 하루 섭취량이 전체 칼로리의 25%를 넘지 않도록 권하고 있다.

첨가당이란 과일, 채소 등에 자연적으로 들어 있는 당분이 아닌 각종 식품과 음식에 첨가되는 설탕을 말한다.

이와관련해 쥐가 하루 칼로리의 25%에 해당하는 설탕을 섭취하면 수명이 짧아지고 번식력도 약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3일 보도했다.

미국 유타 대학 생물학교수 제임스 러프 박사는 젖을 뗀 쥐 156마리를 두 그룹(각 그룹 암수 반반)으로 나누어 한 그룹엔 하루 칼로리의 25%가 첨가당으로 들어있는 먹이를, 다른 그룹은 첨가당이 없는 먹이를 준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두 그룹의 쥐들은 처음 26주 동안은 암수가 구분된 서로 다른 공간에서 이처럼 서로 다른 먹이를 먹다가 그 후 32주 동안은 같은 공간에 살면서 똑같이 첨가당 먹이를 먹었다.

결국 첨가당 먹이를 많이 먹은 그룹의 암쥐는 35%가 죽었다. 이에 비해 대조군의 암쥐는 17%만이 죽었다.

첨가당만 계속 먹은 그룹의 숫쥐는 대조군보다 새끼 번식률이 25% 낮았다. 이는 새끼들의 유전자 분석 결과 확인됐다. 같은 그룹의 암쥐는 처음엔 대조군의 암쥐보다 새끼를 많이 낳았으나 나중에는 적게 낳았다.

또 첨가당을 많이 먹은 그룹의 숫쥐는 대조군의 숫쥐에 비해 영역 장악 능력이 26%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그룹 쥐들은 사망률과 생식력에서는 이처럼 현격한 차이를 보였지만 비만율과 혈당수치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 최신호에 실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